▶ 신규 일자리 창출 부진
▶ 1월 실업률 5.4% 기록
▶ 네바다 이어 전국 2위
▶ LA 6.0%·OC는 4.1%
가주·남가주 고용시장이 실업률이 소폭 개선됐지만 신규 일자리 증가세가 사라지고 실업자는 증가하는 등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전체적으로 상황이 양호한 전국 고용시장과는 정반대로 가고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18일 가주 고용개발국(EDD)에 따르면 지난 1월 가주 실업률은 5.4%를 기록, 전달 최종치인 5.5%에 비해 0.1%포인트 소폭 개선됐다. 그러나 전년 동기인 2024년 1월의 5.1%에 비해서는 0.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같은 가주 실업률은 1월 전국 실업률 4.0%과 비교하면 1.4%포인트나 높다. 또한 1월 가주 실업률 5.4%는 네바다주의 5.8%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주 실업률은 지난 2020년 4월 무려 16.1%까지 치솟으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다시 3분의1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최근 다시 악화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 1월 가주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1,803만2,400개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실리콘 밸리 정보통신(IT) 기업 등에서 해고가 크게 늘었지만 그나마 다른 업종 채용이 이를 부분적으로나 만회하며 일자리 감소를 피할 수 있었다.
2024년 1월부터 2025년 1월까지 1년간 가주 내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는 2만2,500개, 0.12% 증가에 그쳤다. 동 기간 전국 일자리 증가 201만8,000개(1.2% 증가)에 비해 부진했다.
EDD는 2020년 4월부터 경제 성장세가 시작된 이후 가주에서 지난 1월까지 57개월 동안 311만2,600개 일자리가 늘었으며 이는 매월 평균 5만4,607개에 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EDD는 지난 1월 11개 주요 업종 중 5개 업종에서 일자리가 전달 대비 늘었다고 밝혔다.
일자리가 증가한 5개 업종 중 교육·보건 부문에서 전달 대비 가장 많은 1만8,500개 일자리가 증가했다. 이어 기타 부문(1,900개), 제조업 부문(1,600개), 정부·공공 부문(1,600개), 레저·숙박 부문(1,000개) 순으로 일자리가 늘었다.
반면 무역·교통 부분에서 전달 대비 가장 많은 1만4,200개 일자리가 줄었으며 이어 정보·통신 부문(3,900개), 금융·재정 부분(2,800개), 전문직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2,000개), 건설업 부문(1,700개) 순으로 일자리가 감소했다.
지난 1월 가주 실업자는 106만9,100명으로 전달 대비 6,400명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6만8,200명 큰 폭으로 증가했다. 1월 실업수당(UI) 총 수령자는 39만4,387명으로 전달 대비 4,408명 줄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1,846명 증가했다. 1월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는 4만6,109명으로 전달 대비 2,906명, 전년 동기 대비 1,087명 각각 감소했다.
남가주 LA 카운티와 오렌지카운티(OC) 실업률도 악화되고 있다.
1월 LA 카운티 실업률은 6.0%로 전달 최종치인 6.1% 대비 0.1%포인트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의 5.4%에 비해 0.6%포인트나 높은 수준이다. LA 카운티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전달 대비 9만9,500개 감소한 455만8,200개로 집계됐다. 실업자는 전달 대비 3,000명 감소한 30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1월 오렌지카운티(OC) 실업률은 4.1%로 전달 최종치인 3.7% 대비 0.4%포인트 악화됐으며 전년 동기의 3.9% 대비 0.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한때 2%대까지 내려갔던 OC 실업률은 2배 이상 급등했다. OC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전달 대비 3만400개 감소한 167만5,500개로 집계됐다.
한편 지난 1월 전국 실업률은 4.0%로 전달의 4.1%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전년 동기인 2024년 1월의 3.7%와 비교하면 0.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한국정부 “복수국적 55세 하향 검토”
Talk & Talk
|
7572 |
환율 급등 원인은 복합적… 경제심리 악화·위안화 절하도 영향
Talk & Talk
|
6635 |
파우치 ‘올 겨울 더 센 변이 올 수도’
Live Updates (COVID-19, etc.)
|
7807 |
美유통업계, 재고 부담에 \'블프\' 6주전부터 조기 세일 개시
Talk & Talk
|
7312 |
우표값 63센트로…내년 1월 22일부터
U.S. Life & Tips
|
7186 |
전기차 충성도 높다… “구매자, 휘발유차로 돌아가지 않아”
Talk & Talk
|
7324 |
우간다발 에볼라에 美 당국도 ‘비상’… “의심·확진사례 없어”
Live Updates (COVID-19, etc.)
|
7591 |
한인사회 숙원 ‘재외동포청’ 설립된다
Talk & Talk
|
7251 |
“마스크 해제로 LA지역 독감 극심할 전망”
Live Updates (COVID-19, etc.)
|
7408 |
IMF총재 \"경기침체 위험↑…내년 경제성장 2.9%서 또 하향 조정\"
Talk & Talk
|
7527 |
높은 집값에 금리인상…모기지 신청 급락
U.S. Life & Tips
|
6018 |
美노동시장 진정되나…주간 실업수당 청구 2만9천건 증가
Job & Work Life
|
7406 |
고물가 탈출…그곳에 가고 싶다
U.S. Life & Tips
|
7297 |
이번 주부터 가주 개솔린 경기부양금 지급
U.S. Life & Tips
|
7351 |
자녀 모기지 대출 \'코사인\' 부모 늘었다
Talk & Talk
|
7310 |
긴축 효과인가, 침체 전주곡인가…미국 일자리 2년반 새 최대폭 감소
Job & Work Life
|
8142 |
코로나 검사 해제에 ‘한국행 러시’
Travel & Food
|
6539 |
패스트푸드점 최저 시급 22불에 업계 반발
Tax & Salary
|
8173 |
북미 1위 중고패션 플랫폼 인수…네이버, 글로벌 C2C 최강 노린다
Talk & Talk
|
7296 |
美 노동시장 과열 진정되나…8월 구인건수 10% 급감
Job & Work Life
|
7456 |
해상운송업체 운항 취소 급증… “인플레·소비둔화에 수요 격감”
Talk & Talk
|
7205 |
메디케어 보험료 10년만에 첫 인하
U.S. Life & Tips
|
7031 |
410만 가구 CTC(자녀세금크레딧) 못 받아
Tax & Salary
|
8388 |
\'안전한 무단횡단\' 처벌 안 한다
U.S. Life & Tips
|
7453 |
‘한국 거주자’ 되면 시민권자도 주택 비과세
U.S. Life & Tips
|
6996 |
아마존, 창고·배달노동자 시급 평균 1달러↑…격려? 노조 저지?
Tax & Salary
|
9081 |
내일부터 한국 ‘입국 후 PCR 검사’ 해제
Live Updates (COVID-19, etc.)
|
7115 |
갱신 신청하면 영주권 2년 자동연장
U.S. Life & Tips
|
7791 |
美 8월 개인소비지출지수 6.2% 올랐다… 인플레 우려 커져 매파 입김 거세질 듯
Talk & Talk
|
7277 |
가주서 직원 채용시 급여 범위 공개 의무화됐다
Job & Work Life
|
7646 |
아직도 강력한 美노동시장…실업수당 청구, 5개월만에 최저치
Job & Work Life
|
7451 |
모기지 이자 7% 돌파 전망…급격한 금리 인상 여파
Talk & Talk
|
6497 |
올 겨울 독감 ‘독하다’
Live Updates (COVID-19, etc.)
|
7252 |
美주요언론도 IRA문제 조망…WSJ \"투자만 하고 혜택에선 제외\"
Job & Work Life
|
6932 |
에어프레미아, 한국발 LA행 왕복 87만원
Travel & Food
|
72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