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류독감에 공급 급감
▶ 정상화까지 시일 걸려
▶ 초유의 계란수입 고려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계란 가격이 올해 41%까지 추가로 오를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이는 조류 독감으로 인해 살처분된 산란계가 급증한 가운데 공급망 정상화에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7일 연방 농무부(USDA)는 계란 가격이 올해 최소 41%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난달만 해도 20% 추가 상승을 예측했는데 이같은 예상의 두 배를 뛰어넘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계란 가격이 내리기 전에 지금보다 더 높은 가격과 공급난을 한 동안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남가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12개 계란 가격이 10달러를 훌쩍 넘어 15달러 수준까지 치솟고 있다. 소비자들이 달걀 한 개에 1달러 이상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데니스와 화플 하우스와 같은 레스토랑은 계란 요리에 추가료를 받고 있다. 계란을 많이 사용하는 제과점들은 빵값을 올리고 있다. 가격 상승과 함께 계란 공급도 급감하면서 트레이더조스 등 일부 소매업체들은 한 번에 계란 12개만 구입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계란 가격은 전월 대비 15.2% 급등했고, 1년 전과 비교하면 53%나 올랐다. 연방 노동부는 1월 계란 가격 상승률이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면서 1월 가정 내 식품 물가 상승분의 3분의 2에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연방 농무부는 “가격 인상 중 상당 부분은 지난 2년 동안 가금류 농가를 황폐화하고 계란 공급에 타격을 준 고병원성 조류 독감의 지속적인 발생에 기인한다”고 진단했다. 당국에 따르면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가 2022년 발발한 이후 살처분된 산란계는 약 1억6,600만마리에 달한다. 지난달에는 약 1,900만마리가 살처분되는 등 달걀 농가에 최악의 달이었다.
닭 농장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면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통상 가금류 전체가 살처분된다. 대형 농장은 많게는 수백만 마리의 닭을 사육하고 있어, 대형 농장 한 곳에서만 조류 독감이 발생해도 공급망이 큰 타격을 받는다.
연방정부는 조류독감 퇴치와 달걀 농가 지원을 위한 최대 10억달러의 긴급 지원 계획을 26일 발표했다. 달걀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캘리포니아주에서 적용한 ‘산란계의 최소 공간 요건’ 등 규제를 완화하고 일반 가정에서도 뒷마당에서 더 쉽게 닭을 기를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농무부는 또 또 단기적으로 계란 가격을 낮추기 위해 외국에서 일시적으로 달걀을 수입하는 초유의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AI 거품 꺼지고 있어”… 수익성 등 부각
Talk & Talk
|
2950 |
3월 구인 850만건… 3년래 최저
Job & Work Life
|
3099 |
“우려했던 금리인상 없어”… 첫 인하 9월에 ‘무게’
Current Economy
|
2742 |
\'무설탕\' 소주라더니... 일반 소주와 당류·열량 비슷
Travel & Food
|
880 |
물가 뛰고 인건비 날고... 美 덮친 ‘금리인하 불발 공포’
Current Economy
|
1085 |
“K-의료관광 가요”… 지난해 급증
Travel & Food
|
3123 |
패스트푸드 10% 이상 올랐다
Travel & Food
|
3628 |
유통업체 ‘배송 속도 경쟁’ 더 가열
Talk & Talk
|
3502 |
차량 ‘자동비상 제동장치’ 의무화
Talk & Talk
|
2918 |
연준 금리동결 전망…‘인플레 여전히 높다’
Current Economy
|
2848 |
‘고객 위치정보 공유’ 관행에 거액 벌금
Talk & Talk
|
2928 |
“올해 마더스데이 효도선물 특수 잡아라”
Talk & Talk
|
2982 |
가주 ‘엑소더스’ 끝났나… 작년 인구 반등
Talk & Talk
|
2855 |
“인재들 공부 전념하도록”… 한인사회 장학금 ‘봇물’
College Life
|
2903 |
입학 땐 팬데믹… 졸업 앞두니 반전시위 ‘몸살’
College Life
|
2782 |
차 보험대란 속 사소한 규정 위반 꼬투리 ‘횡포’
Talk & Talk
|
684 |
“영주권자 사회복무요원도 귀가여비 줘야”
Talk & Talk
|
1044 |
뉴욕 방문시 ‘교통혼잡세’ 주의
Travel & Food
|
2384 |
졸지에 1살 아기된 101세 할머니… 무슨 일이
Travel & Food
|
515 |
대학가 가자전쟁 항의 ‘들불’… 베트남 반전시위 데자뷔
Talk & Talk
|
717 |
美 ‘조류인플루엔자 젖소 감염’ 확산…당국, 가공 쇠고기 조사
Talk & Talk
|
566 |
피싱서 코인 범죄로… 사이버사기 2.5만건 ‘껑충’
Talk & Talk
|
2763 |
美 ‘3고’(고물가·고금리·고성장)에 엔화 매도 확산…日정부 개입 효과도 ‘미지수’
Current Economy
|
2617 |
에어프레미아, 미주 할인 LA·인천 편도가 567달러
Travel & Food
|
2874 |
“이참에 코스코 회원 될까”… 회원권 특가
U.S. Life & Tips
|
2527 |
집 살 때 다운페이 평균 5만1,250달러
Travel & Food
|
2685 |
연준, 기준금리 내려도 종착점은 예전보다 높다
Current Economy
|
2700 |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합의
Talk & Talk
|
3091 |
중국, 미국 내 광대역 통신 서비스 제공도 금지된다
Talk & Talk
|
2606 |
팬데믹 끝나고 집값 급등…‘곡소리’ 나는 이 업종
Current Economy
|
2540 |
“강달러, 좋은 것만 아니다”… 경제위험 초래
Current Economy
|
2849 |
동물성 우유 vs. 식물성 우유… 어느 게 더 나을까
Travel & Food
|
3000 |
미·중 첨예한 신경전…관세장벽·과잉생산 등 현안
Current Economy
|
2978 |
‘미국 3고(고물가·고금리·고성장) 강풍’에 엔화 158엔대까지 추락
Current Economy
|
2764 |
봄맞이 집안 ‘서류 대청소’ 해 볼까?
U.S. Life & Tips
|
2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