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국상선 입항 때마다 거액 징수
By 1aaxxxx Posted: 2025-02-25 10:34:23

▶ 중 ‘해양굴기’ 견제책

▶ 자국 선박 애용 정책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 조선·해운시장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할 조치를 구체화했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21일 공고문을 통해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산업 장악력을 고려해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USTR의 추진안은 중국 선사의 어떤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달러, 또는 선박의 용적물에 t당 최대 1,0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아울러 중국산 선박을 포함한 복수의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의 경우,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조건에 따라 최대 150만 달러의 수수료 등을 부과하는 내용도 포함한다.


이와 함께 USTR은 미국산 제품의 미국 선박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안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해당 정책의 시행 직후부터 해상 운송되는 미국 제품의 최소 1%는 미국 선사의 미국 선적 선박을 통해 수출돼야 한다. 조치 시행 2년 후에는 3%, 3년 후엔 5%, 7년 후엔 15%로 최소 기준 비율이 늘어나고 궁극적으로는 미국 제품들이 미국 선적의 미국산 선박을 통해 수출돼야 한다고 규정한다.

이같은 방안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실시한 중국의 산업 관행에 대한 조사 뒤 나온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USTR는 보고서에서 중국이 세계 조선·해운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각종 불공정한 수단을 동원해 왔다고 지적하며 이를 막기 위한 ‘긴급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특혜와 보조금을 통해 중국의 글로벌 조선 산업 점유율은 2000년 약 5%에서 2023년에는 50%를 넘기는 수준까지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과 일본이 각각 2~3위를 기록했다.반면 한때 세계 조선시장을 장악했던 미국의 점유율은 1% 이하로 추락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USTR의 조치로 중국 선박의 운송 비용이 상승하면 “한국과 일본의 조선업계에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관측했다. 다만 상승한 운송 비용은 소비자 가격에 반영돼 미국인들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추진안은 1974년 도입된 무역법 301조를 근거로 한다. 이 법률은 무역과 관련해 외국 정부의 차별적 관행이 있다고 판단하면 그에 대응할 권리를 미국 정부에 부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번 조치는 이날 개시된 의견 수렴과 다음 달 24일 공청회 등 절차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주차장 강·절도 기승…한인타운 ‘하루 1~2건꼴’
Talk & Talk
3754
‘차량 번호 인식’으로 연쇄살인범 검거
Talk & Talk
2971
물고뜯는 유치원생 휴원·퇴학 못시킨다
Talk & Talk
3182
내년 세금 미납분 벌금 폭탄 주의보
Tax & Salary
3876
수퍼컴에 필적하는 ‘양자컴’ 나왔다
Talk & Talk
602
모기지 금리 5주 연속 하락… 전국 평균 7.22%
Talk & Talk
438
소규모 사업장으로 기우는 노동시장…구인 점유율 사상 최고
Job & Work Life
826
파월 “원했던 바 얻어”… 금리인상 종료 기대감 고조
Talk & Talk
871
아시아나, ‘최고 기내서비스’ 수상
Travel & Food
556
내구재 가격 5개월 연속↓ “내년 2%대 물가 가능”
Talk & Talk
1262
테슬라, 당초 예상가보다 53% 비싸진 ‘사이버 트럭’ 출시
Talk & Talk
859
11월 세계증시 3년만에 최대폭 상승
Talk & Talk
872
비트코인 4만달러 눈앞…현물시장 승인 기대감
Talk & Talk
242
“내년 국제유가 배럴당 100달러 갈 수도”
Talk & Talk
822
모기지 금리 5주 연속 하락… 전국 평균 7.22%
Talk & Talk
1205
대한항공·아시아나 A380 증편… LA노선 경쟁
Travel & Food
312
셀피 찍다 사망…‘목숨 건 인생샷’
Travel & Food
3159
한국 정부 공직에도 해외인재 유치 적극
Job & Work Life
3299
나스닥 1달러 미만 \'동전주\' 급증…2년여만에 2개→464개
Talk & Talk
4009
미국서 개 호흡기 질환 급증…\"신종 바이러스 가능성\"
Talk & Talk
3607
106조 시장 잡아라…\"할머니 추억 살아났다\" 눈물 글썽인 광고
Talk & Talk
3464
치즈 빠진 ‘맥앤치츠’ 출시…크래프트사, 비건용 개발
Travel & Food
3331
한국차 11월 판매량 신기록 세웠다
Talk & Talk
2898
‘전국 렌트비 톱100’에 LA한인타운 포함
Talk & Talk
3351
연 1만800불…자녀 보육 부담에 직장 포기 증가
Job & Work Life
3455
84조 달러…사상 최대 자산 대물림 진행중
Talk & Talk
3654
미국산 치즈, 올해 국제대회서 235개 상·메달 휩쓸어
Travel & Food
5834
전 주한미군 사령관 \"두 개의 전쟁 본 北, 공격적 여지 더 커져\"
Talk & Talk
2196
디즈니·애플에 대놓고 욕설한 머스크…이·하 틈새서 돈 날릴판
Talk & Talk
2358
파월 \"금리인하 시점 예측 너무 일러…긴축효과 다 반영 안돼\"
Talk & Talk
1942
딥마인드, AI로 세상에 없던 물질 38만개 찾았다
Talk & Talk
949
실업수당 청구 7,000건 증가, 1년래 최고
Job & Work Life
985
운임 급락·공급 과잉… 해운업계 ‘이중고’
Job & Work Life
2169
“다른 것 다 올랐는데 개솔린 가격은 떨어지네”
Talk & Talk
1192
전설적 두 거장이 빚어내는 ‘음악의 향연’
Talk & Talk
5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