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활동까지 위축… 트럼프 관세 ‘S 공포’ 확산
By uhbxxxx Posted: 2025-02-24 11:35:12

▶ 다우존스·S&P500 최대 낙폭
▶ PMI 하락세… 기대인플레 올라

▶ 가격 압박… 소비자심리 흔들
▶ “정치환경 변화에 판매 타격”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 관세 부과로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뉴욕 증시가 올 들어 가장 큰 폭으로 주저앉았다. 특히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80%를 차지하는 서비스업 업황이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위축 국면에 진입한 것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다는 평가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26일(현지 시간) 발표될 엔비디아 실적과 28일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향방을 가를 분기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21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주식시장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69%, 1.71% 내린 4만 3428.02, 6013.13에 각각 거래를 마쳐 올 들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미국의 또 다른 3대 지수인 나스닥지수도 2.20% 급락한 1만 9524.01에 장을 마감했다.

주요 외신들은 이날 비관적인 경제지표가 연이어 나온 것이 투자심리를 급격하게 위축시켰다고 분석했다. S&P글로벌이 이날 발표한 미국의 2월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4로 2023년 9월(50.2) 이후 17개월 만에 최저치로 낮아졌다. 2월 서비스업 PMI도 49.7을 기록해 2023년 1월(46.8) 이후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금융·유통·물류·보건·교육 등 미국 GDP의 80%를 차지하는 서비스업 PMI가 확장과 위축의 기준선인 5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서비스업의 위축 국면 진입을 의미한다. 서비스업 PMI는 지난달 52.9로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인 데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 이후 시점인 이달 들어 본격적으로 위축 국면으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트럼프 행정부가 경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관세 전쟁과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에 속도를 내면서 경기가 둔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지적이다.

이날 미국 미시간대에서 내놓은 2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 대비 10% 가까이 낮아진 64.7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15개월 만의 최저치다. 같은 날 발표된 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도 2월 4.3%로 지난달(3.3%) 대비 1.0%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년 뒤 물가가 지금보다 비쌀 것으로 보는 소비자들이 그만큼 증가했다는 의미다.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크리스 윌리엄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지출 삭감부터 관세 부과, 지정학적 상황에 이르기까지 미국 연방정부의 정책 영향에 대해 광범위하게 걱정하고 있다”며 “정치 환경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판매에 타격을 입고 있다”고 진단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미국 경제가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기 둔화라는 두 가지 위험에 동시에 직면했다”고 경고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의 친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무역 전쟁이 미국 경제에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스태그플레이션이 큰 위험으로 재부상하고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달 발표된 미국의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는 연율 환산 기준으로 전기 대비 2.3% 증가해 3분기(3.1%)보다 크게 둔화했다. 블룸버그는 27일 발표될 4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도 속보치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의 시선은 28일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이 발표하는 PCE 가격지수에 쏠리고 있다. 가격 변동 폭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가장 선호하는 지표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트럼프 때문에 미국 안 간다”… 관광업계 ‘직격탄’
Travel & Food
930
‘메타 제국’ 분할되나… 운명 가를 세기의 재판 열린다
Talk & Talk
1082
교통티켓 받았다고 한인 유학생 ‘추방’
College Life
1160
5월 7일부터 리얼ID법 시행… 꼭 필요하진 않아
Travel & Food
1152
AI 툴로 아마존 코딩시험 통과 한인 명문대생 결국 \'중퇴\'
College Life
992
트럼프 3대 오판… 시장·물가·중국이 반대로 갔다
Current Economy
100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일주일 새 70원 가까이 \'널뛰기\'
Current Economy
296
이정후, 팀 새 역사 썼다…\"양키스 상대 멀티홈런 친 첫 자이언츠 선수\"
Talk & Talk
339
‘올해 4회 이상 내려야’ vs ‘금리 다시 올려야’
Current Economy
657
프라다, 베르사체 인수 LVMH·케링과 본격 경쟁
Talk & Talk
411
‘에어프레미아 불안’… 항공기 부족 구조적 문제
Travel & Food
533
3월 소비자 물가 상승세… 4년 만에 최저
Current Economy
609
신규 실업수당 22만3,000건… 4,000건 늘어
Job & Work Life
1322
트럼프 행정부 무차별 이민자 추방 ‘일시 제동’
Talk & Talk
578
물러설 뜻 없는 시진핑 \"기댄 적 없으니 때려도 안 무섭다\"
Current Economy
216
中, 美에 재보복... 오늘부터 관세 84%→125%로 상향
Current Economy
169
아마존 등 온라인 상품가격도 대폭 상승
Current Economy
607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째 급락… 소비 ‘빨간불’
Current Economy
776
BMW, 관세 부담에 美 현지생산 확대 검토
Current Economy
575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
Current Economy
484
유럽 유니버설스튜디오 런던 인근에 들어선다
Travel & Food
526
‘가짜 학생’ 지원금 수백만불 샌다
College Life
216
세금보고 LA카운티는 6개월 연장 가능
Tax & Salary
1176
불체 납세자 정보 이민국 넘긴다
Talk & Talk
209
한인 유학생들도 비자 취소 속출… ‘추방 공포’
College Life
302
백악관 “중국에 대한 합계 관세 125%가 아닌 145%”
Current Economy
151
SK하이닉스, D램 점유율 \'세계 1위\'… 삼성전자 첫 추월
Current Economy
353
\"통관 취소... 상하이港의 미국행 화물선박이 거의 사라졌다\"
Current Economy
148
트럼프 \"中 관세 125%로 더 올려... 다른 국가는 90일간 유예\"
Current Economy
271
트럼프 관세 유예 조치에 뉴욕증시 폭등, 나스닥 12% 이상 상승
Current Economy
217
트럼프 \"중국 제외하고 모든 국가에 관세 90일간 유예\"
Current Economy
376
“모든 컴퓨터에 윈도·오피스… 세계 최대 SW(소프트웨어) 기업”
Talk & Talk
181
법대-스탠포드·공학-MIT
College Life
333
한국 미술 거장들 LA서 모두 만난다
Talk & Talk
220
원 달러 환율 또 천장 뚫렸다...16년래 최고
Current Economy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