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딥시크’ 돌풍 속… 세계는 ‘차단 vs 허용’
By ww2xxxx Posted: 2025-02-21 11:02:05

▶ 친중 vs 반중진영 격돌
▶ 인도·러시아 등 지원

▶ 중 내부서도 밀어주기
▶ 한·미 등 서방은 차단

 

 

 

중국이 자국에서 개발된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일본과 주요 서방 국가들이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한 가운데 러시아 등 친중 성향 국가들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의 신흥국과 개도국), 인도 등은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내부에서는 정부와 정보기술(IT)기업만이 아니라 금융계와 교육기관까지 나서 ’토종 AI‘ 밀어주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딥시크의 대형언어 모델을 자국 서버에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T 강국인 인도는 그간 비용 문제로 AI 관련 투자 개발이 더뎠으나 딥시크를 도입해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의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는 딥시크의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겨냥한 딥시크 사용 독려 지원사격도 이어졌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의 레오 리우 빈싱 국제 비즈니스 부사장은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차이나 콘퍼런스‘에서 “(딥시크의 등장은)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들에 매우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아프리카에서도 딥시크의 AI 기술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의 크리스토퍼 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의 딥시크 모델이 AI 개발 분야에서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중국 관영 영문매체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했다.

기업들이 저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앞세워 AI 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가 국경을 넘어 중국의 영향력을 뻗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특히 딥시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국가들을 보면 2013년 중국이 서방 중심 질서에 도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미 패권의 약한 틈새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속도만큼이나 세계 각국의 딥시크에 대한 차단 또한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출시 한 달도 안 돼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늘었다.

한국은 지난 15일부터 딥시크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아예 차단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주요 부문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 본토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대만의 민진당 정부는 이미 지난달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한 국가 중에는 미 동맹국이거나 반중 성향 국가가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 또한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보이콧은 매우 이례적이며, ’딥시크 찬반 노선‘을 두고 마치 세계가 둘로 쪼개진 듯한 인상마저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댜오다밍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은 다른 나라와 기술적 성과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태도에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세계와 공유하는 것은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를 필두로 불붙은 ’AI 굴기‘에 중국 내부가 한껏 고무된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까지 나섰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을 주재하고 중국의 IT·테크 거물들에게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독려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내년 자이언 국립공원 입장료·캠핑료 인상…야영 1박 25~45불로
Travel & Food
3013
LA 과속 감시카메라 설치… 분야별 최저임금 인상
Talk & Talk
1885
홍해발 물류대란…2주 지연·운임료 급등
Talk & Talk
1846
연말 한층 깐깐해진 반품 규정 ‘주의’
Talk & Talk
2102
IT 기술인력 10만명 감원…구글·MS·메타 등 줄줄이
Job & Work Life
3410
“같은 크기 부지에 더 많은 집”
Talk & Talk
2282
전기차 재고 사상 최대…114일치, 작년의 두배
Talk & Talk
763
전국 침체에도 따로 노는 남가주 주택시장
Talk & Talk
1181
고용 → 소비 → 성장 선순환…“소프트 랜딩 성공”
Talk & Talk
1084
\"美 11∼12월 연말 시즌 소비지출 전년대비 3.1%↑\"
Talk & Talk
1052
\'AI의 습격\' 올 것이 왔다…구글, 3만명 구조조정 추진설
Job & Work Life
5766
패티 4장까지 추가 가능…‘빵 없는’ 버거도
Travel & Food
8252
새해부터 교통 단속 절차 바뀐다
Talk & Talk
3015
美 확진자의 44%…코로나19 변이 \'JN.1\' 확산세 심상찮다
Live Updates (COVID-19, etc.)
2838
사진 찍으면 \'짝퉁∙명품\' 척척 감별... 신통방통 AI서비스 인기
Talk & Talk
3251
쇼핑 대행업체들 물건 확보 ‘전쟁 중’
Talk & Talk
2646
LA총영사관 재건축 이르면 내년 상반기 설계 시작
Talk & Talk
2910
자녀 1명당 2000불까지 세액 공제
Tax & Salary
4757
LA 보행자 사망 9년 만에 최다
Talk & Talk
2841
국내선 짐 분실 최대 3800달러 배상
Travel & Food
3634
허위 청구 ERC 자발적 상환 허용
Job & Work Life
3085
오토론 잔액이 차값 넘는 ‘깡통차’ 급증세
Talk & Talk
3126
보험연금 납입액 3,600억달러… 역대 최고
Talk & Talk
2296
실업수당청구 20만5천건 3개월 20만건 초반 등락
Job & Work Life
7019
3분기 미 경제 성장률 4.9%로 확정
Talk & Talk
1726
내년 경제…“침체 없지만 순탄치 않아”
Talk & Talk
2860
국적 항공사 마일리지…“써보지도 못하고 연말에 소멸”
Travel & Food
2612
텍사스, ‘성역도시’ 시카고로 불법입국자 항공이송 시작
Talk & Talk
2666
LA공공시설물 구리 절도 기승…\'6가 다리\' 일부 조명 꺼지고
Talk & Talk
3164
출근·재택 병행 \'하이브리드\' 대세…완전 재택 34%서 1%로 급락
Job & Work Life
3218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대학 기숙사비도 급등
College Life
3416
소비자신뢰지수 5개월 만에 최고…기존주택 매매 반등
Talk & Talk
3193
크리스마스 연휴 집중 교통 단속…CHP 오늘~25일 가주 전역서
Talk & Talk
3521
떼강도 통제불능 수준…강력 처벌법 힘 얻는다
Talk & Talk
3733
겨울 폭풍에 연말 여행 안전 주의보…일부 지역 폭우로 홍수 피해
Talk & Talk
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