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중 vs 반중진영 격돌
▶ 인도·러시아 등 지원
▶ 중 내부서도 밀어주기
▶ 한·미 등 서방은 차단
중국이 자국에서 개발된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일본과 주요 서방 국가들이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한 가운데 러시아 등 친중 성향 국가들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의 신흥국과 개도국), 인도 등은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내부에서는 정부와 정보기술(IT)기업만이 아니라 금융계와 교육기관까지 나서 ’토종 AI‘ 밀어주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딥시크의 대형언어 모델을 자국 서버에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T 강국인 인도는 그간 비용 문제로 AI 관련 투자 개발이 더뎠으나 딥시크를 도입해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의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는 딥시크의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겨냥한 딥시크 사용 독려 지원사격도 이어졌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의 레오 리우 빈싱 국제 비즈니스 부사장은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차이나 콘퍼런스‘에서 “(딥시크의 등장은)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들에 매우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아프리카에서도 딥시크의 AI 기술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의 크리스토퍼 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의 딥시크 모델이 AI 개발 분야에서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중국 관영 영문매체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했다.
기업들이 저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앞세워 AI 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가 국경을 넘어 중국의 영향력을 뻗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특히 딥시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국가들을 보면 2013년 중국이 서방 중심 질서에 도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미 패권의 약한 틈새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속도만큼이나 세계 각국의 딥시크에 대한 차단 또한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출시 한 달도 안 돼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늘었다.
한국은 지난 15일부터 딥시크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아예 차단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주요 부문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 본토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대만의 민진당 정부는 이미 지난달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한 국가 중에는 미 동맹국이거나 반중 성향 국가가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 또한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보이콧은 매우 이례적이며, ’딥시크 찬반 노선‘을 두고 마치 세계가 둘로 쪼개진 듯한 인상마저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댜오다밍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은 다른 나라와 기술적 성과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태도에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세계와 공유하는 것은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를 필두로 불붙은 ’AI 굴기‘에 중국 내부가 한껏 고무된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까지 나섰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을 주재하고 중국의 IT·테크 거물들에게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독려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지하철 범죄와의 전쟁…뉴욕주, 방위군 750명 투입해 가방 검사
Talk & Talk
|
1983 |
에어프레미아, 온라인 체크인 확대…인천발 미주노선 7일부터
Travel & Food
|
1521 |
크레딧점수 평균 717점…10년 만에 하락
Talk & Talk
|
1465 |
파월 \'금리인하 재확인\'에 주가·유가 ↑…금값은 최고 경신
Talk & Talk
|
1725 |
나무 심으면 최대 500불 리베이트…수도국 물절약 프로그램
Talk & Talk
|
1502 |
\"당신은 지금 골프 티타임을 훔치고 있다\"
Talk & Talk
|
1848 |
파월 연준의장…‘고금리 장기화’ 메시지 전망
Talk & Talk
|
343 |
“소비자 선택 줄어”… 기업들 제품 ‘간소화’
Talk & Talk
|
380 |
JP모건 “트럼프 고율 관세 땐 달러강세…원화·위안화 취약”
Talk & Talk
|
719 |
전설의 록밴드 ‘부활’ 남가주 온다
Talk & Talk
|
2844 |
세계 최고 병원 순위… UCLA 메디컬센터 12위
Talk & Talk
|
1739 |
CJ 생산 냉동만두서 이물질 ‘리콜’
Travel & Food
|
1445 |
美주식에 금, 비트코인까지…\'코로나 고점\' 뚫고 신고가 랠리
Talk & Talk
|
1858 |
못 받은 팬데믹 지원금 신청 5월 만료…5월 17일 세금 보고해야
Talk & Talk
|
1929 |
카드 연체료 8달러로 제한…\'정크 수수료와 전쟁\' 일환
Talk & Talk
|
1106 |
10일부터 국적항공사 출도착 시간 조정
Travel & Food
|
2472 |
델타항공 국내선·국제선, 수하물 수수료 5불 인상
Travel & Food
|
2682 |
가주 올봄 야생화 만개 \'수퍼블룸\'…기록적 폭우에 \"장관 이룰 것\"
Travel & Food
|
1838 |
\'와이파이 해킹\' 빈집털이 주의보…CCTV·경보 시스템 비활성화
Talk & Talk
|
1367 |
에너지 업계 “이젠 지열 발전”
Talk & Talk
|
534 |
우버, 미성년 단독승차 서비스 가주서 실시
Talk & Talk
|
535 |
전국 보다 높은 실업률…‘경제 1번지’ 가주 흔들
Job & Work Life
|
409 |
뒤집힌 텍사스 ‘불체자 체포법’… 항소심선 허용
Talk & Talk
|
349 |
한미 항공여행객 작년 사상 최다… 펜데믹 이전 회복
Travel & Food
|
2321 |
봄방학 앞두고 멕시코 여행 주의보
Travel & Food
|
2527 |
고물가에 보육비 상승, 부모들 이중고
Talk & Talk
|
1539 |
[세금보고 점검 사항] 서류 잘 챙기고 실수 없어야…철자·숫자 주의
Tax & Salary
|
2506 |
[올해 바뀐 세법] 표준 공제, 독신 900불·부부 1800불 인상
Tax & Salary
|
2660 |
비트코인 28개월만에 사상 최고가…6만9천300달러 찍고 급락
Talk & Talk
|
1542 |
[무료 세금보고] IRS, 연소득 7만9000불 이하면 무료 서비스
Tax & Salary
|
8120 |
인스타 돌연 오류…페북까지 갑자기 로그아웃 접속장애
Talk & Talk
|
2683 |
LA 51불, 호텔 주차비 급등…차 없어도 부과
Travel & Food
|
2615 |
한인들의 한표, 최초 만든다
Talk & Talk
|
2927 |
가주 전기차 판매 의무화 ‘비현실적’
Talk & Talk
|
1009 |
국가채무 ‘눈덩이’… 100일에 1조달러씩 증가
Talk & Talk
|
5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