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딥시크’ 돌풍 속… 세계는 ‘차단 vs 허용’
By ww2xxxx Posted: 2025-02-21 11:02:05

▶ 친중 vs 반중진영 격돌
▶ 인도·러시아 등 지원

▶ 중 내부서도 밀어주기
▶ 한·미 등 서방은 차단

 

 

 

중국이 자국에서 개발된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일본과 주요 서방 국가들이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한 가운데 러시아 등 친중 성향 국가들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의 신흥국과 개도국), 인도 등은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내부에서는 정부와 정보기술(IT)기업만이 아니라 금융계와 교육기관까지 나서 ’토종 AI‘ 밀어주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딥시크의 대형언어 모델을 자국 서버에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T 강국인 인도는 그간 비용 문제로 AI 관련 투자 개발이 더뎠으나 딥시크를 도입해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의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는 딥시크의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겨냥한 딥시크 사용 독려 지원사격도 이어졌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의 레오 리우 빈싱 국제 비즈니스 부사장은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차이나 콘퍼런스‘에서 “(딥시크의 등장은)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들에 매우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아프리카에서도 딥시크의 AI 기술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의 크리스토퍼 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의 딥시크 모델이 AI 개발 분야에서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중국 관영 영문매체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했다.

기업들이 저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앞세워 AI 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가 국경을 넘어 중국의 영향력을 뻗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특히 딥시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국가들을 보면 2013년 중국이 서방 중심 질서에 도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미 패권의 약한 틈새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속도만큼이나 세계 각국의 딥시크에 대한 차단 또한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출시 한 달도 안 돼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늘었다.

한국은 지난 15일부터 딥시크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아예 차단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주요 부문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 본토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대만의 민진당 정부는 이미 지난달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한 국가 중에는 미 동맹국이거나 반중 성향 국가가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 또한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보이콧은 매우 이례적이며, ’딥시크 찬반 노선‘을 두고 마치 세계가 둘로 쪼개진 듯한 인상마저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댜오다밍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은 다른 나라와 기술적 성과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태도에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세계와 공유하는 것은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를 필두로 불붙은 ’AI 굴기‘에 중국 내부가 한껏 고무된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까지 나섰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을 주재하고 중국의 IT·테크 거물들에게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독려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미 금융시장 지배자… 이젠 은행 아닌 자산운용사
Current Economy
3312
가주 ‘주택보험 대란’ 심화
Talk & Talk
3001
“한남체인 노조 대처 정보공개법 위반”
Job & Work Life
3790
한국에 계좌 없어도 ‘금융 인증’
Talk & Talk
2979
미국 기업 지난해 ‘연봉킹’ CEO는?
Talk & Talk
3287
JP모건까지…월가 떠나는 금융사들
Current Economy
2605
3월 소비자 심리 2021년 이후 최고
Current Economy
4582
바이든 행정부, 초과근무수당 지급 대상 확대
Tax & Salary
3360
소수인종 우대 ‘다양성’ 지우는 미 기업들
Job & Work Life
3143
테슬라, 가격 인하 발표…모델 Y·S·X, 2,000달러
Talk & Talk
2367
‘13월의 월급’… 환급금 받아 빚 갚는다
Talk & Talk
2591
신규실업수당 청구 21만2,000건 그쳐
Job & Work Life
3089
가주 고용시장 ‘먹구름’… 일자리 둔화·실업자 증가
Job & Work Life
3048
나이키, 미 본사 직원 700여명 해고
Job & Work Life
3205
LS전선, IRA 세액공제 1억달러 수혜
Current Economy
2702
LAPD 경찰력 신속 증원 ‘난항’
Talk & Talk
2389
명문대들 학비보조 늘린다
College Life
2273
LA-라스베가스 고속철 마침내 착공
Travel & Food
2516
시민권자 배우자 구제 ‘불체자 합법화’ 추진
Visa,Green Card,Citizenship
3608
뉴저지 구매대행 셀러 모집합니다! (주 4회)
Part Time Jobs
616
현대차 美 조지아 공장, 태양광으로 돌린다
Talk & Talk
3326
‘천정부지’ 남가주 집값… LA 평균 100만달러 육박
Talk & Talk
3101
노동허가 유효기간 자동연장 확대
Visa,Green Card,Citizenship
3152
강한 경제…바이든 재선에 ‘양날의 검’
Current Economy
3033
페이스북·왓츠앱도 ‘AI’ “더 똑똑하고 빨라져”
Talk & Talk
4495
“제3자 업체 차려 경쟁사 정보 수집”
Talk & Talk
3203
자동차 노조가입 가속화 폭스바겐 미 공장 승인
Job & Work Life
3707
사무실 ‘키우기 경쟁’…지금은 ‘축소 지향’
Job & Work Life
3595
생활비 부담에…“병원치료 미루고 끼니까지 걸러”
Talk & Talk
4855
애플, 아이폰 수만대 도난당했는데 ‘쉬쉬’…무슨 일?
Talk & Talk
5731
AI 조종사 vs 인간 조종사... F-16 전투기로 첫 실제 ‘도그 파이트’
Talk & Talk
3622
모기지 금리 재상승…올들어 처음 7%대로
Current Economy
3272
4년제 대졸자 2년 연속 감소
College Life
2991
아마존, 한국주문 무료배송 49달러 이상 주문 시 가능
Talk & Talk
3172
포브스 선정, 한국 최고 자산가 50인은
Talk & Talk
4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