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중 vs 반중진영 격돌
▶ 인도·러시아 등 지원
▶ 중 내부서도 밀어주기
▶ 한·미 등 서방은 차단
중국이 자국에서 개발된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일본과 주요 서방 국가들이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한 가운데 러시아 등 친중 성향 국가들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의 신흥국과 개도국), 인도 등은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내부에서는 정부와 정보기술(IT)기업만이 아니라 금융계와 교육기관까지 나서 ’토종 AI‘ 밀어주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딥시크의 대형언어 모델을 자국 서버에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T 강국인 인도는 그간 비용 문제로 AI 관련 투자 개발이 더뎠으나 딥시크를 도입해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의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는 딥시크의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겨냥한 딥시크 사용 독려 지원사격도 이어졌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의 레오 리우 빈싱 국제 비즈니스 부사장은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차이나 콘퍼런스‘에서 “(딥시크의 등장은)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들에 매우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아프리카에서도 딥시크의 AI 기술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의 크리스토퍼 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의 딥시크 모델이 AI 개발 분야에서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중국 관영 영문매체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했다.
기업들이 저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앞세워 AI 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가 국경을 넘어 중국의 영향력을 뻗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특히 딥시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국가들을 보면 2013년 중국이 서방 중심 질서에 도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미 패권의 약한 틈새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속도만큼이나 세계 각국의 딥시크에 대한 차단 또한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출시 한 달도 안 돼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늘었다.
한국은 지난 15일부터 딥시크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아예 차단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주요 부문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 본토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대만의 민진당 정부는 이미 지난달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한 국가 중에는 미 동맹국이거나 반중 성향 국가가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 또한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보이콧은 매우 이례적이며, ’딥시크 찬반 노선‘을 두고 마치 세계가 둘로 쪼개진 듯한 인상마저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댜오다밍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은 다른 나라와 기술적 성과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태도에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세계와 공유하는 것은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를 필두로 불붙은 ’AI 굴기‘에 중국 내부가 한껏 고무된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까지 나섰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을 주재하고 중국의 IT·테크 거물들에게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독려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백악관 \'중국 관세율 최대 245%\'... 中 \'싸움 두렵지 않다\'
Current Economy
|
66 |
트럼프 정부, 부산영사관 폐쇄 검토... 해외 공관 27곳 대상
Talk & Talk
|
70 |
달러 약세에 1,420원대로 급락… 4개월래 최저
Current Economy
|
412 |
미 제조업 일자리 비중 9.4%로 급감했다
Current Economy
|
356 |
1분기 미국 기업 파산 2010년 이후 최대…”중국도 파산 증가세”
Current Economy
|
299 |
미국인들 실업률 증가 우려 팬데믹 이후 최고
Current Economy
|
354 |
취업이민 문호 진전 또 ‘급제동’
Visa,Green Card,Citizenship
|
1174 |
아시안 이민자 유입 라틴계 추월했다
Talk & Talk
|
382 |
美 달러·주식·채권 \'트리플 약세\'... 일본 버블 붕괴 때와 비슷
Current Economy
|
261 |
FT \"트럼프가 쥔 패, 시진핑보다 약해… 조만간 항복할 것\"
Current Economy
|
237 |
구글, 또 수백명 감원… ‘군살빼기’ 지속
Job & Work Life
|
720 |
세금보고 마감 ‘내일’… 대행업체들 홍보전
Tax & Salary
|
820 |
“트럼프 때문에 미국 안 간다”… 관광업계 ‘직격탄’
Travel & Food
|
450 |
‘메타 제국’ 분할되나… 운명 가를 세기의 재판 열린다
Talk & Talk
|
483 |
교통티켓 받았다고 한인 유학생 ‘추방’
College Life
|
528 |
5월 7일부터 리얼ID법 시행… 꼭 필요하진 않아
Travel & Food
|
526 |
AI 툴로 아마존 코딩시험 통과 한인 명문대생 결국 \'중퇴\'
College Life
|
476 |
트럼프 3대 오판… 시장·물가·중국이 반대로 갔다
Current Economy
|
72 |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일주일 새 70원 가까이 \'널뛰기\'
Current Economy
|
133 |
이정후, 팀 새 역사 썼다…\"양키스 상대 멀티홈런 친 첫 자이언츠 선수\"
Talk & Talk
|
165 |
‘올해 4회 이상 내려야’ vs ‘금리 다시 올려야’
Current Economy
|
310 |
프라다, 베르사체 인수 LVMH·케링과 본격 경쟁
Talk & Talk
|
191 |
‘에어프레미아 불안’… 항공기 부족 구조적 문제
Travel & Food
|
271 |
3월 소비자 물가 상승세… 4년 만에 최저
Current Economy
|
245 |
신규 실업수당 22만3,000건… 4,000건 늘어
Job & Work Life
|
734 |
트럼프 행정부 무차별 이민자 추방 ‘일시 제동’
Talk & Talk
|
314 |
물러설 뜻 없는 시진핑 \"기댄 적 없으니 때려도 안 무섭다\"
Current Economy
|
144 |
中, 美에 재보복... 오늘부터 관세 84%→125%로 상향
Current Economy
|
108 |
아마존 등 온라인 상품가격도 대폭 상승
Current Economy
|
252 |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째 급락… 소비 ‘빨간불’
Current Economy
|
350 |
BMW, 관세 부담에 美 현지생산 확대 검토
Current Economy
|
241 |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
Current Economy
|
279 |
유럽 유니버설스튜디오 런던 인근에 들어선다
Travel & Food
|
221 |
‘가짜 학생’ 지원금 수백만불 샌다
College Life
|
145 |
세금보고 LA카운티는 6개월 연장 가능
Tax & Salary
|
6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