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딥시크’ 돌풍 속… 세계는 ‘차단 vs 허용’
By ww2xxxx Posted: 2025-02-21 11:02:05

▶ 친중 vs 반중진영 격돌
▶ 인도·러시아 등 지원

▶ 중 내부서도 밀어주기
▶ 한·미 등 서방은 차단

 

 

 

중국이 자국에서 개발된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일본과 주요 서방 국가들이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한 가운데 러시아 등 친중 성향 국가들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의 신흥국과 개도국), 인도 등은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내부에서는 정부와 정보기술(IT)기업만이 아니라 금융계와 교육기관까지 나서 ’토종 AI‘ 밀어주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딥시크의 대형언어 모델을 자국 서버에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T 강국인 인도는 그간 비용 문제로 AI 관련 투자 개발이 더뎠으나 딥시크를 도입해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의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는 딥시크의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겨냥한 딥시크 사용 독려 지원사격도 이어졌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의 레오 리우 빈싱 국제 비즈니스 부사장은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차이나 콘퍼런스‘에서 “(딥시크의 등장은)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들에 매우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아프리카에서도 딥시크의 AI 기술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의 크리스토퍼 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의 딥시크 모델이 AI 개발 분야에서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중국 관영 영문매체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했다.

기업들이 저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앞세워 AI 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가 국경을 넘어 중국의 영향력을 뻗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특히 딥시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국가들을 보면 2013년 중국이 서방 중심 질서에 도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미 패권의 약한 틈새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속도만큼이나 세계 각국의 딥시크에 대한 차단 또한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출시 한 달도 안 돼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늘었다.

한국은 지난 15일부터 딥시크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아예 차단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주요 부문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 본토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대만의 민진당 정부는 이미 지난달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한 국가 중에는 미 동맹국이거나 반중 성향 국가가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 또한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보이콧은 매우 이례적이며, ’딥시크 찬반 노선‘을 두고 마치 세계가 둘로 쪼개진 듯한 인상마저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댜오다밍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은 다른 나라와 기술적 성과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태도에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세계와 공유하는 것은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를 필두로 불붙은 ’AI 굴기‘에 중국 내부가 한껏 고무된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까지 나섰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을 주재하고 중국의 IT·테크 거물들에게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독려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구인공고 \'조심\'.. 5개 중 1개는 ‘가짜\"
Job & Work Life
2001
트럼프노믹스 2.0, 세 바퀴로 굴러간다
Current Economy
2495
이재민 보금자리 귀환 언제쯤…
Talk & Talk
2072
IMF, 올해 세계 성장률 3.2%→3.3%로 올려…美 독보적 성장 반영
Current Economy
1963
“보편관세 매월 인상” 2~5% 점진적 올린다
Current Economy
1768
트럼프 취임식, 북극한파에 실내행사로…레이건 이후 40년만
Talk & Talk
3279
LA-Caregiver 간병인 구합니다. 5
Part Time Jobs
474
\"CIA 요원만 입장 가능\" 창문도, 간판도 없는 스타벅스의 비밀
Talk & Talk
1496
산불 틈타 피해자 대상 폭리 렌트 ‘바가지’ 기승
Talk & Talk
2513
메타 “성과 저조한 직원 5% 감원”
Job & Work Life
2338
다시 트럼프 시대… ‘타이틀 42’ 등 100개 행정명령 서명
Talk & Talk
1465
틱톡 서비스 19일부터 중단 가능
Talk & Talk
2111
비트코인 10만달러 탈환 이더리움·리플 등 급등
Current Economy
1731
소비자물가 전년비 2.9% 상승
Current Economy
1744
LA 산불 보험손실 규모, 역사상 최고
Talk & Talk
1363
타이거 우즈의 스크린골프 실력은? TGL 데뷔전 치러
Talk & Talk
467
美 하원, 트랜스젠더 여성 스포츠 활동 금지 법안 가결
Talk & Talk
412
휴머노이드가 車 조립하니… 정확도 7배, 속도 4배
Job & Work Life
2102
LA화마 잿더미 속 살아남은 게티미술관... 비결은?
Talk & Talk
1918
전쟁 467일 만에…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전격 합의
Talk & Talk
2198
작년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9%↑…예상 부합
Current Economy
1225
가족·취업 영주권 문호 ‘올스톱’
Visa,Green Card,Citizenship
1807
스타벅스 영업규정 강화 매장·화장실 고객만 허용
Talk & Talk
1884
백화점 상징 ‘메이시스’ 고전 이유
Talk & Talk
1792
고용 26만명 ‘깜짝 증가’ 실업률 4.2→4.1% 하락
Job & Work Life
1875
달러 가치 2년여 만에 최고… “5% 추가 상승 가능”
Current Economy
1809
연준, “한동안 금리 동결 가능성 시사” 주목
Current Economy
1658
화재 손실… 보험업계 300억·경제손실 2,750억달러
Current Economy
2381
18일~21일 트럼프 취임 축하행사… 20일 선서
Talk & Talk
1938
배넌 vs 머스크 ‘내홍’ H-1B 비자 놓고 충돌
Visa,Green Card,Citizenship
1924
기업 사무실 출근 ‘박차’ 아마존 이어 JP모건까지
Job & Work Life
1848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 50% 늘어 160만명
Job & Work Life
2299
2024년 소득 세금보고 27일부터 접수
Tax & Salary
1852
충격과 공포… ‘마가(MAGA) 100일’ 수퍼 트럼피즘 몰아친다
Talk & Talk
2143
첨단 기술 발전 속도 어지러울 정도… 2025년 트렌드
Talk & Talk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