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중 vs 반중진영 격돌
▶ 인도·러시아 등 지원
▶ 중 내부서도 밀어주기
▶ 한·미 등 서방은 차단
중국이 자국에서 개발된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일본과 주요 서방 국가들이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한 가운데 러시아 등 친중 성향 국가들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의 신흥국과 개도국), 인도 등은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내부에서는 정부와 정보기술(IT)기업만이 아니라 금융계와 교육기관까지 나서 ’토종 AI‘ 밀어주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딥시크의 대형언어 모델을 자국 서버에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T 강국인 인도는 그간 비용 문제로 AI 관련 투자 개발이 더뎠으나 딥시크를 도입해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의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는 딥시크의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을 겨냥한 딥시크 사용 독려 지원사격도 이어졌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의 레오 리우 빈싱 국제 비즈니스 부사장은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차이나 콘퍼런스‘에서 “(딥시크의 등장은)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들에 매우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아프리카에서도 딥시크의 AI 기술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의 크리스토퍼 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의 딥시크 모델이 AI 개발 분야에서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중국 관영 영문매체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했다.
기업들이 저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앞세워 AI 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가 국경을 넘어 중국의 영향력을 뻗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특히 딥시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국가들을 보면 2013년 중국이 서방 중심 질서에 도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미 패권의 약한 틈새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속도만큼이나 세계 각국의 딥시크에 대한 차단 또한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출시 한 달도 안 돼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서비스를 제한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늘었다.
한국은 지난 15일부터 딥시크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아예 차단했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은 정부 기관을 비롯한 주요 부문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 본토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대만의 민진당 정부는 이미 지난달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한 국가 중에는 미 동맹국이거나 반중 성향 국가가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 또한 중국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보이콧은 매우 이례적이며, ’딥시크 찬반 노선‘을 두고 마치 세계가 둘로 쪼개진 듯한 인상마저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댜오다밍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은 다른 나라와 기술적 성과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태도에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세계와 공유하는 것은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를 필두로 불붙은 ’AI 굴기‘에 중국 내부가 한껏 고무된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까지 나섰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을 주재하고 중국의 IT·테크 거물들에게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독려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LA자연사박물관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탄생
Talk & Talk
|
1616 |
절도범 막으면 불법 주상원서 통과 논란
Job & Work Life
|
6939 |
캐나다 산불 올 들어 400건... 美 뉴욕까지 잿빛 하늘
Talk & Talk
|
4761 |
“종업원 급구”… 일부 업종 인력부족 심화
Job & Work Life
|
6922 |
팀 쿡 애플 CEO \"비전프로는 \'내일의 공학\'…애플 전환점 될 것\"
Talk & Talk
|
3058 |
고물가에 주목…55년째 1불대 고수…핫휠의 미니카 가격 내린 셈
Talk & Talk
|
4957 |
뜨거운 고용·높은 인플레…쑥 들어간 미국 금리인하 전망
Talk & Talk
|
5277 |
오픈AI CEO \"인공지능은 인류에 실존적 위험…감독기구 필요\"
Talk & Talk
|
5688 |
조원태 \"무얼 포기하든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성사시킬 것\"
Talk & Talk
|
2177 |
세계은행, 올해 세계성장률 2.1%로 소폭 상향…\"내년까지 약세\"
Talk & Talk
|
2497 |
암호화폐에 칼 꺼내든 미국…SEC, 바이낸스 이어 코인베이스 제소
Talk & Talk
|
1246 |
테슬라 모델3가 캠리보다 싸졌다…세액공제에 친환경 리베이트
Talk & Talk
|
1830 |
호텔·항공기 \'숨은 비용\' 주의보…리조트비·부대비용까지 부과
Travel & Food
|
3039 |
2023년도 \'미슐랭 가이드\' 선정 남가주 식당
Travel & Food
|
3000 |
올 여름 국내·해외 ‘보복여행’ 폭발
Travel & Food
|
5744 |
고물가에 ‘짠물’ 소비 대세…“마켓 순례 3만리”
Talk & Talk
|
5969 |
소비 수요 감소에 물류 창고 대폭 줄여
Job & Work Life
|
5435 |
1달러 노동으로 챗GPT 키워놨더니, 1만달러 일감 뺏기는 나라
Talk & Talk
|
5549 |
파머스마저…주택보험 신규 가입 속속 제한
Talk & Talk
|
6512 |
올 여름 모기 최악…6~10월 모기 기승 전망
Talk & Talk
|
5714 |
한국, 11년만에 유엔 안보리 재진입…비상임이사국 선출
Talk & Talk
|
5053 |
신차 리스 비용 폭등…한인들 “사는 게 낫다”
Talk & Talk
|
6073 |
원자재값 내려도 가격 올려…‘인플레 핑계’ 폭리
Talk & Talk
|
4203 |
‘완전고용’에도 침체…낯선 길 가는 경제
Job & Work Life
|
4712 |
5월 일자리 34만개↑… 노동시장 강세 지속
Job & Work Life
|
5682 |
금리 올려도 식지 않는 美경제…에너지원은 655조원 \'초과 저축\'
Talk & Talk
|
2883 |
美부채한도 합의로 국채발행 급증 전망…\"경제 위축 우려\"
Talk & Talk
|
4362 |
융자 연체 증가…침체 우려 커져
Talk & Talk
|
5576 |
미국서 \'좀비 모기지\'에 일부 집주인들 압류 위험 직면
Talk & Talk
|
4199 |
\'마이크로소프트 365\' 이용자 1만5천명 \'프로그램 다운\' 피해
Talk & Talk
|
2322 |
“벤모·페이팔 일반 계좌 예치금 보호 못받아”
Talk & Talk
|
2273 |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으로 하락
Travel & Food
|
1661 |
재외동포청 공식 출범…개청식열고 본청 등 업무 시작
Talk & Talk
|
1600 |
가주, 렌트 디파짓 한 달치로 제한
Talk & Talk
|
1456 |
서부항만 노조 파업에 LA롱비치항 물류 차질
Talk & Talk
|
15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