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역 무기화’ 트럼프 압박
▶ 대미투자 급증, 역대 최고
▶ 현대·삼성·포스코·농심 등
▶ 한국기업들도 ‘발등의 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적 관세 부과 정책에 한국 등 세계 기업들의 미국 투자도 늘고 있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에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도 잇따르고 있다. 비싼 땅값에 높은 인건비는 부담이지만, 관세 폭탄을 맞느니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편이 낫다는 현실 인식이 작용한 것이다.
이전 바이든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반도체 칩과 과학법’(CHIPS)‘ 등에 따른 거액의 보조금 혜택을 통해 투자를 이끌었다면, 트럼프는 ’관세‘를 무기로 기업들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주요 교역국에 대한 강경한 ’관세 부과‘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 상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다.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했던 25% 신규 관세는 한 달 유예했지만, 협상 여하에 따라 강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내달 12일부터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도 시행될 예정이다. 그동안 무관세 쿼터 방식으로 대미 수출을 해 온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4월 초에는 국가별 ’맞춤형‘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했다. 상호 관세 부과 시 상대국의 관세뿐만 아니라 ’비관세장벽‘까지 포함하겠다고 함에 따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관세를 철폐한 한국도 사정권에 들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자회사인 ’FDI 프로젝트‘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 세계 그린필드 FDI 프로젝트 가운데 미국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의 비율이 2023년 11.6%에서 지난해 1~11월 14.3%로 증가했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 최고치라고 FT는 설명했다. 그린필드 FDI 프로젝트는 기업이 외국에서 새로운 시설과 운영을 구축하거나 확장하는 투자를 말한다.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한국 기업들의 미국행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17일 철강업계 등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미국에 처음으로 쇳물을 생산하는 해외 제철소를 짓기로 했다. 현대제철이 ’쇳물 생산‘을 해외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아그룹은 텍사스주에 연산 6,000톤 규모의 특수합금 공장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세아창원특수강의 미국 법인은 1억855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도 미국 현지에 상공정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상공정은 고로 또는 전기로를 통해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다양한 산업군의 미국 시장 진출도 활발하다. 풀무원은 캘리포니아와 매사추세츠에 각각 두 곳의 공장을 운영 중인데, 올해 완공을 목표로 생산라인 증설에 들어갔다.
미국 내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100%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오뚜기는 캘리포니아주에 새로운 생산 공장 설립을, 농심은 로스앤젤레스에 가동 중인 두 곳의 공장에 더해 추가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를 들여 4나노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에 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애리조나주 퀸크릭에 원통형 배터리 및 ESS 전용 공장을 건설 중으로, 2026년 가동 예정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Pasadena 에 위치한 한국인 미용실에서 함께 일하실 미용사, 헬퍼 / 어씨를 찾습니다
Part Time Jobs
|
192 |
미국전역 에서 활동 가능한 프리랜서 통번역사를 모십니다.
Part Time Jobs
|
312 |
LA 다저스, 팀 코리아에 5대2 승리... 오타니는 3타수 무안타
Talk & Talk
|
746 |
한인 업주들 괴롭히는 ‘장애인 공익소송 위협’ 기승
Job & Work Life
|
815 |
“한인 브로커 골프 티타임 싹쓸이” 고발 일파만파
Talk & Talk
|
397 |
위장 반품 후 환불 받는 ‘신종사기’ 조직화
Talk & Talk
|
474 |
세금 연체·미납하면 벌금 폭탄 맞는다
Tax & Salary
|
3014 |
이민자들 미국내 노동력 성장 50% 담당
Job & Work Life
|
3059 |
취업비자(H-1B) 사전 등록
Visa,Green Card,Citizenship
|
1545 |
전국 계란 가격 폭등…수요 증가·조류독감 탓
Travel & Food
|
3022 |
다시 오르는 개솔린 가격… 5달러 육박
Talk & Talk
|
2635 |
모기지 금리 계속 하락…30년 고정 평균 6.84%
Talk & Talk
|
2379 |
“리스 예외조항 이용, IRA 보조금 지급”
Talk & Talk
|
2379 |
“미국인들도 팁 지겹다… 생각보다 야박”
Talk & Talk
|
2625 |
‘주4일 근무’ 연방 법안…샌더스 발의, 공화 반대
Job & Work Life
|
2775 |
“월급으론 부족한데 이참에 자판기 부업이나 할까”
Job & Work Life
|
2303 |
“집 팔때 내는 중계수수료 절반으로 줄어든다”
Talk & Talk
|
2226 |
광장시장서 만둣국 먹고, 한복 입고… MLB 스타들 서울나들이
Talk & Talk
|
2120 |
美는 왜 삼성에 예상치 3배인 8조 쐈나... 거세진 반도체 패권 ‘쩐의 전쟁’
Talk & Talk
|
1960 |
달러샵부터 맥도날드까지… 저소득층 소비력 감소 ‘고심’
Talk & Talk
|
2023 |
부산, LA 항만과 물류사업 추진
Talk & Talk
|
2125 |
“조선·해운산업, 미중 무역전쟁의 새 전쟁터 부상”
Job & Work Life
|
577 |
“LA로 오세요”… 한국서 ‘할리웃 품은 LA’ 홍보 나선다
Travel & Food
|
374 |
틱톡, ‘금지법안’ 전혀 대비못해… 500만 사업자들 ‘조마조마’
Talk & Talk
|
382 |
글로벌 기업 배당 최대 작년 1조6천억, 5.7% ↑
Talk & Talk
|
249 |
고금리에 연방정부 이자부담 ‘눈덩이’
Talk & Talk
|
264 |
테크 신생기업들 긴축… 고용·주식보상 축소
Job & Work Life
|
1152 |
‘품질 논란’ 보잉 인도 지연에 발 묶인 항공사
Travel & Food
|
341 |
바이든,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공개 반대 “美기업으로 남아야”
Talk & Talk
|
2114 |
패스트푸드 최저임금 인상 임박 “가격 요동 우려”
Job & Work Life
|
2225 |
에어비앤비, 내달 30일부터 실내 감시카메라 설치 금지
Travel & Food
|
2129 |
웨이모 LA서 로보택시 상용화…14일부터 2주간 무료로
Talk & Talk
|
2380 |
백신 기피 또 확산…이번엔 홍역
Talk & Talk
|
2265 |
학생 빚 덜어주려 대학들 나섰다…‘무대출’ 재정 보조 정책 도입
College Life
|
1975 |
유학생 도움받던 캐시잡 사라진다
Job & Work Life
|
2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