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맞을래, 공장 지을래”… 해외기업들 미국행
By nw4xxxx Posted: 2025-02-19 11:06:11

▶ ‘무역 무기화’ 트럼프 압박
▶ 대미투자 급증, 역대 최고

▶ 현대·삼성·포스코·농심 등
▶ 한국기업들도 ‘발등의 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적 관세 부과 정책에 한국 등 세계 기업들의 미국 투자도 늘고 있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에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도 잇따르고 있다. 비싼 땅값에 높은 인건비는 부담이지만, 관세 폭탄을 맞느니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편이 낫다는 현실 인식이 작용한 것이다.

이전 바이든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반도체 칩과 과학법’(CHIPS)‘ 등에 따른 거액의 보조금 혜택을 통해 투자를 이끌었다면, 트럼프는 ’관세‘를 무기로 기업들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주요 교역국에 대한 강경한 ’관세 부과‘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 상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다.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했던 25% 신규 관세는 한 달 유예했지만, 협상 여하에 따라 강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내달 12일부터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도 시행될 예정이다. 그동안 무관세 쿼터 방식으로 대미 수출을 해 온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4월 초에는 국가별 ’맞춤형‘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했다. 상호 관세 부과 시 상대국의 관세뿐만 아니라 ’비관세장벽‘까지 포함하겠다고 함에 따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관세를 철폐한 한국도 사정권에 들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자회사인 ’FDI 프로젝트‘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 세계 그린필드 FDI 프로젝트 가운데 미국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의 비율이 2023년 11.6%에서 지난해 1~11월 14.3%로 증가했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 최고치라고 FT는 설명했다. 그린필드 FDI 프로젝트는 기업이 외국에서 새로운 시설과 운영을 구축하거나 확장하는 투자를 말한다.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한국 기업들의 미국행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17일 철강업계 등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미국에 처음으로 쇳물을 생산하는 해외 제철소를 짓기로 했다. 현대제철이 ’쇳물 생산‘을 해외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아그룹은 텍사스주에 연산 6,000톤 규모의 특수합금 공장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세아창원특수강의 미국 법인은 1억855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도 미국 현지에 상공정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상공정은 고로 또는 전기로를 통해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다양한 산업군의 미국 시장 진출도 활발하다. 풀무원은 캘리포니아와 매사추세츠에 각각 두 곳의 공장을 운영 중인데, 올해 완공을 목표로 생산라인 증설에 들어갔다.

미국 내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100%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오뚜기는 캘리포니아주에 새로운 생산 공장 설립을, 농심은 로스앤젤레스에 가동 중인 두 곳의 공장에 더해 추가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를 들여 4나노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에 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애리조나주 퀸크릭에 원통형 배터리 및 ESS 전용 공장을 건설 중으로, 2026년 가동 예정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美 ‘조류인플루엔자 젖소 감염’ 확산…당국, 가공 쇠고기 조사
Talk & Talk
587
피싱서 코인 범죄로… 사이버사기 2.5만건 ‘껑충’
Talk & Talk
2771
美 ‘3고’(고물가·고금리·고성장)에 엔화 매도 확산…日정부 개입 효과도 ‘미지수’
Current Economy
2634
에어프레미아, 미주 할인 LA·인천 편도가 567달러
Travel & Food
2896
“이참에 코스코 회원 될까”… 회원권 특가
U.S. Life & Tips
2539
집 살 때 다운페이 평균 5만1,250달러
Travel & Food
2711
연준, 기준금리 내려도 종착점은 예전보다 높다
Current Economy
2721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합의
Talk & Talk
3113
중국, 미국 내 광대역 통신 서비스 제공도 금지된다
Talk & Talk
2623
팬데믹 끝나고 집값 급등…‘곡소리’ 나는 이 업종
Current Economy
2553
“강달러, 좋은 것만 아니다”… 경제위험 초래
Current Economy
2857
동물성 우유 vs. 식물성 우유… 어느 게 더 나을까
Travel & Food
3021
미·중 첨예한 신경전…관세장벽·과잉생산 등 현안
Current Economy
3003
‘미국 3고(고물가·고금리·고성장) 강풍’에 엔화 158엔대까지 추락
Current Economy
2798
봄맞이 집안 ‘서류 대청소’ 해 볼까?
U.S. Life & Tips
2828
빌 게이츠, 피클볼 대중화 일등공신…저커버그는 격투 마니아
Talk & Talk
2943
“판매 줄었는데도… 집값은 85만달러 훌쩍 넘어”
Current Economy
2778
고물가 지속·성장 둔화…‘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고개
Current Economy
2712
근원 PCE 물가 전년비 2.8% 상승
Current Economy
2749
“동종업계 이직, 제한 못한다”
Job & Work Life
3203
신규 실업수당 청구 9주 만에 최저치로
Job & Work Life
2694
국제유가, 90달러 육박…지정학적 위험 등 상승
Current Economy
617
테슬라, 가주·텍사스서 6,000여명 감원
Job & Work Life
4498
1분기 미 경제 성장률 1.6%로 둔화
Current Economy
2413
국내선 3시간·국제선 6시간 지연시 ‘자동환불’
Travel & Food
2455
모기지 금리 다시 7%대로 반등… 주택거래 ‘냉각’
Current Economy
2881
임윤찬·조성진, 뉴욕 필과 무대 펼친다
Travel & Food
3451
납세 증명서 없어도 OK…해외 이주 신고 편리해졌다
Talk & Talk
2859
경비원들 “생명 위협 속에 일한다”… 범죄피해 증가
Talk & Talk
2631
되돌아온 타운 ‘푸드코트 전성시대’
Travel & Food
3587
시위 몸살에 USC 졸업식 행사 전격 취소
Talk & Talk
2602
다운타운 ‘777타워’ 매각 무산
Talk & Talk
2575
수화물 제때 못 실어… LAX 국적항공사 지연 ‘대란’
Travel & Food
3370
엔·달러 환율 155엔도 넘었다... 또 34년 만에 기록적 엔저
Current Economy
2716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1.6%...예상치 밑돌아
Current Economy
3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