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관세 시행 배경
▶ “비공식 장벽이 더 문제 한국 등 동맹 특혜 없다”
▶ 4월1일 이후부터 시행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3일 발표한 상호관세를 각 국가의 관세와 비관세 장벽 등 미국의 무역적자를 키우는 모든 요인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고위당국자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관련 대통령 각서 서명에 앞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 상대국의 관세뿐만 아니라 “그가 비금전적 또는 비관세 장벽이라고 부르는 것에도 레이저빔처럼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들이 각각 다른 방식과 정책의 조합으로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면서 “예를 들어 일본은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지만, 구조적 장벽이 높다. 반면 관세 왕(마하라자)인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관세 일부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통령 각서는 “수년간 미국은 우방과 적국을 포함한 교역 상대국들한테 불공정하게 대우받았다. 이 상호주의의 결핍은 우리나라의 크고 상습적인 연간 상품 무역적자의 한 원인”이라고 규정했다.
고위당국자는 “이 문구에서 중요한 점은 중국 공산당 같은 전략적 경쟁자이든 유럽연합(EU)이나 일본이나 한국 같은 동맹이든 상관 없이 모든 나라가 다른 방식으로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거나 더 높은 비관세 장벽을 세우면서 앞으로도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대우받을 것으로 기대하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맞춤형으로 책정할 것이며 국가별 관세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불공정하고 차별적인 세금 또는 역외의 세금”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또 “관세 장벽, 비관세 장벽, 보조금과 부담스러운 규제 요건을 포함해 불공정하거나 해로운 조처, 정책이나 관행 때문에 미국 기업과 노동자, 소비자에 초래하는 비용”도 평가 대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환율 정책,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불공정하다고 판단한 다른 기타 관행도 상호관세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인이 된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고위당국자의 이런 설명을 고려하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관세를 대부분 철폐한 한국에도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상호관세를 부과하려고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악관에 따르면 상무부 장관과 USTR 대표는 국가별로 상호주의적인 교역 관계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무역적자가 가장 많고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들을 먼저 들여다볼 방침이라고 고위당국자는 설명했다.
상호관세 시행 시기와 관련,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이 문제에 대한 행정부 차원의 연구는 4월1일까지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해 상호 관세의 실질적인 적용은 4월1일 이후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국가들이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냐는 질문에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기존 구조 때문에 교역 환경이 얼마나 불균형한지에 대해 세계 국가들과 대화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은 각 나라들이 관세를 내리고 싶다면 관세를 내리겠다는 의향이 충분하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는 모든 국가가 행동하기를 기대한다. 왜냐면 그들이 우리를 속이고 있다는 게 너무 명백하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무역 및 법률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새로운 관세율은 거의 즉시 효력이 생길 것’이라는 자신의 말을 관철시키기 위해 1930년에 제정된 ‘무역법 1930’에 수록된 제338조를 꺼내 들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338조는 미국 대통령이 미국과의 상거래에서 차별을 한 나라의 수입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한 조항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월마트·타깃 등 대형 소매체인들 올해도 추수감사절 문 닫는다
U.S. Life & Tips
|
5760 |
“경제전망 더 비관적” 연준 베이지북 보고서
Talk & Talk
|
7136 |
한국 보험사들에 미국시장은 ‘무덤’… 영업 잇따라 철수
Job & Work Life
|
7883 |
아직 튼튼한 노동시장… 실업수당 청구건수 1만2천건↓
Job & Work Life
|
7449 |
인플레에 근로자 52% “부업 하겠다”
Job & Work Life
|
7044 |
팬데믹 비상사태 종료되면 수백만 건강보험 중단위기
Live Updates (COVID-19, etc.)
|
7166 |
‘정리해고 파도’ 미 경제 덮친다
Job & Work Life
|
6960 |
코로나19 감염되면 3~4년 더 늙는다
Live Updates (COVID-19, etc.)
|
7158 |
내년 부부 표준 공제액 2만7700불
Tax & Salary
|
7666 |
학자금 부채 탕감 신청 접수 시작
U.S. Life & Tips
|
7090 |
\"해상운임 하락에도 미국 상품물가 여전히 고공행진\"
Talk & Talk
|
6906 |
美 주택시장지수, 반년 만에 반토막…10년 만에 최저치
Talk & Talk
|
6995 |
부르는 게 가격…그나마도 살 차가 없다
Talk & Talk
|
7408 |
처음으로 아시아계 얼굴 등장한 미국 25센트 주화 생산
Talk & Talk
|
7183 |
‘팁, 최저임금 포함’ 찬반 논란 가열
Job & Work Life
|
7317 |
오바마케어 혜택 대폭 확충… 부양가족에 확대
U.S. Life & Tips
|
8414 |
모기지 금리 7% 육박…\"8%까지 오를수도\"
Talk & Talk
|
8201 |
코로나 경기부양금 1000만명 못 받았다
Live Updates (COVID-19, etc.)
|
7086 |
맨하탄 네일가게
Part Time Jobs
|
539 |
‘텅텅 비는 오피스’ 재택근무·경기침체 직격탄
Job & Work Life
|
8824 |
10년 이하 단기 거주엔 변동 금리 유리
U.S. Life & Tips
|
7145 |
세금보고 연장·해외계좌 신고 15일 마감
Tax & Salary
|
7550 |
채소 담는 비닐 봉투도 퇴출
U.S. Life & Tips
|
7625 |
미 물가 8.2% 상승…Fed, 내달 다시한번 자이언트 스텝 유력
Talk & Talk
|
7160 |
1만달러 이상 해외계좌 15일까지 신고
Tax & Salary
|
7928 |
\"돈만 밝힌다\" 또 가격 올린 美 디즈니랜드…입장권 얼마길래
U.S. Life & Tips
|
8660 |
‘독립계약자 분류 더 까다롭게’ 업계 비상
Tax & Salary
|
7796 |
한국정부 “복수국적 55세 하향 검토”
Talk & Talk
|
7551 |
환율 급등 원인은 복합적… 경제심리 악화·위안화 절하도 영향
Talk & Talk
|
6621 |
파우치 ‘올 겨울 더 센 변이 올 수도’
Live Updates (COVID-19, etc.)
|
7798 |
美유통업계, 재고 부담에 \'블프\' 6주전부터 조기 세일 개시
Talk & Talk
|
7303 |
우표값 63센트로…내년 1월 22일부터
U.S. Life & Tips
|
7175 |
전기차 충성도 높다… “구매자, 휘발유차로 돌아가지 않아”
Talk & Talk
|
7314 |
우간다발 에볼라에 美 당국도 ‘비상’… “의심·확진사례 없어”
Live Updates (COVID-19, etc.)
|
7576 |
한인사회 숙원 ‘재외동포청’ 설립된다
Talk & Talk
|
72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