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비관세 장벽·환율·역외세금 등 고려
By mokxxxx Posted: 2025-02-14 10:11:31

▶ 상호관세 시행 배경

▶ “비공식 장벽이 더 문제 한국 등 동맹 특혜 없다”
▶ 4월1일 이후부터 시행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3일 발표한 상호관세를 각 국가의 관세와 비관세 장벽 등 미국의 무역적자를 키우는 모든 요인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고위당국자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관련 대통령 각서 서명에 앞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 상대국의 관세뿐만 아니라 “그가 비금전적 또는 비관세 장벽이라고 부르는 것에도 레이저빔처럼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들이 각각 다른 방식과 정책의 조합으로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면서 “예를 들어 일본은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지만, 구조적 장벽이 높다. 반면 관세 왕(마하라자)인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관세 일부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통령 각서는 “수년간 미국은 우방과 적국을 포함한 교역 상대국들한테 불공정하게 대우받았다. 이 상호주의의 결핍은 우리나라의 크고 상습적인 연간 상품 무역적자의 한 원인”이라고 규정했다.

고위당국자는 “이 문구에서 중요한 점은 중국 공산당 같은 전략적 경쟁자이든 유럽연합(EU)이나 일본이나 한국 같은 동맹이든 상관 없이 모든 나라가 다른 방식으로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거나 더 높은 비관세 장벽을 세우면서 앞으로도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대우받을 것으로 기대하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맞춤형으로 책정할 것이며 국가별 관세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불공정하고 차별적인 세금 또는 역외의 세금”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또 “관세 장벽, 비관세 장벽, 보조금과 부담스러운 규제 요건을 포함해 불공정하거나 해로운 조처, 정책이나 관행 때문에 미국 기업과 노동자, 소비자에 초래하는 비용”도 평가 대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환율 정책,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불공정하다고 판단한 다른 기타 관행도 상호관세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인이 된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고위당국자의 이런 설명을 고려하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관세를 대부분 철폐한 한국에도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상호관세를 부과하려고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악관에 따르면 상무부 장관과 USTR 대표는 국가별로 상호주의적인 교역 관계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무역적자가 가장 많고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들을 먼저 들여다볼 방침이라고 고위당국자는 설명했다.


상호관세 시행 시기와 관련,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이 문제에 대한 행정부 차원의 연구는 4월1일까지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해 상호 관세의 실질적인 적용은 4월1일 이후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국가들이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냐는 질문에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기존 구조 때문에 교역 환경이 얼마나 불균형한지에 대해 세계 국가들과 대화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은 각 나라들이 관세를 내리고 싶다면 관세를 내리겠다는 의향이 충분하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는 모든 국가가 행동하기를 기대한다. 왜냐면 그들이 우리를 속이고 있다는 게 너무 명백하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무역 및 법률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새로운 관세율은 거의 즉시 효력이 생길 것’이라는 자신의 말을 관철시키기 위해 1930년에 제정된 ‘무역법 1930’에 수록된 제338조를 꺼내 들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338조는 미국 대통령이 미국과의 상거래에서 차별을 한 나라의 수입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한 조항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국민 절반 400달러 비상금 마련 힘들어
Talk & Talk
4466
‘경제 연착륙’ 자신감… 기업들 투자 늘린다
Job & Work Life
2424
“여름여행 가고 싶은데”… 인플레 고물가 비용 부담
Travel & Food
1997
챗GPT로 쉽게 코딩…“SW 엔지니어 전성시대 끝났다”
Job & Work Life
2919
신종 환치기 송금사기 주의보
Talk & Talk
2011
팬데믹에 원격근무 늘며 탈뉴욕 가속화
Job & Work Life
2700
세금보고 안 해 못 받은 환급금 15억불
Tax & Salary
2574
드론 배송시대 성큼…비용·시간 절약 효과
Talk & Talk
2789
코로나 땐 퇴거 미뤄주던데…美거리서 자동차서 노숙자 확산
Talk & Talk
2608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 난민 25만명에 직업 기회 제공키로
Job & Work Life
4252
부자 소리 들으려면 자산 220만불은 돼야
Talk & Talk
3606
대상, 미 럭키푸즈 인수…김치시장 공략
Job & Work Life
3412
디지털 ID 17만명에 발급…DMV 여름부터 시범 운영
Talk & Talk
5460
“코로나 재확산 징후 안 보여” LA 보건국 올 여름 전망
Live Updates (COVID-19, etc.)
3051
새차 너무 비싸, 중고차 고쳐 탄다
Talk & Talk
1994
LA 주택 소유주 48.7%가 ‘하우스 푸어’
Talk & Talk
2503
IRS, ERC(직원고용유지크레딧) 부정수급 강력 단속 시작
Job & Work Life
4279
지난해 메타 중간 연봉 3억8천만원…구글은 3억6천만원
Tax & Salary
5438
티켓업체,‘숨은 수수료’ 공개키로
Talk & Talk
2247
챗GPT에 중요정보 ‘노’, 스스로 복제·유출 가능
Talk & Talk
1812
“항만 파업 피했지만 역대급 인상에 비난 여론”
Job & Work Life
4332
한달 70원 낙하… 원화 강세 가파르다
Talk & Talk
4477
취업이민 3순위 4개월 후퇴
Visa,Green Card,Citizenship
2071
LA 전철 다운타운 ‘사통팔달’
U.S. Life & Tips
1315
남가주 주택 강절도 ‘칠레파’ 입국 막아라
Talk & Talk
4970
황금빛 사라진 美 곡창지대…\"60년 만에 최악의 밀 흉작\"
Talk & Talk
2518
\"엄마가 회사 데려다줘야\" 스페이스X 입사한 14살 천재 소감
Job & Work Life
4238
[신입생 여름방학 준비] 네트워킹 시작은 인턴십 찾기 \'첫 걸음\'
College Life
3287
서비스업 3명 중 1명 노동조합에 가입 거부
Job & Work Life
3168
\'50도 육박\' 美 남부 김 피어올랐다…전세계 \'살인 더위\' 몸살
Talk & Talk
4617
건물주 65.1% “12개월내 렌트 인상”
Talk & Talk
4548
올 연말에 경기 하강 전망…소매점 대대적 세일 준비
Talk & Talk
3917
높은 집값·생활비에 가주 떠난다
Talk & Talk
4960
미 최대 쇼핑몰도 ‘항복’한 SF
Talk & Talk
5227
미국내 한인 인구 195만…학력 아시안 2위
Talk & Talk
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