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센 강달러… 수익성 악화에 떠는 미기업
By px1xxxx Posted: 2025-02-13 11:51:31

▶ 트럼프 효과에 달러 인덱스 상승

▶ 상품 가격에 악영향…경영 부담
▶ S&P500 상장사 40% “환율 우려”

 

 

최근 미국 기업들 사이에서 강(强)달러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달러 가치가 치솟자 세계시장에서 미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8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달러인덱스)는 7일 108.040을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수 국가를 상대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를 부과하겠다고 하자 달러지수는 전일 대비 0.33% 상승했다. 올 1월 초 109대를 넘어선 데 비해 다소 하향 안정화된 것이지만 지난해 9월과 비교해서는 약 7% 상승하는 등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미국 재계에서는 강달러 현상이 기업 경영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달러 가치가 높아지면 세계시장에서 미국 상품 가격이 올라가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외국 통화가 달러 대비 약세일 경우 해외에서 거둘 수익의 가치가 줄어든다는 점도 고민이다.


실제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상장 기업의 경우 매출의 약 30%가 해외에서 발생하며 달러 가치가 약 10% 높아지면 기업 주당순이익(EPS)은 약 2%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분기 실적 행사에서 S&P500 기업 중 약 40%가 향후 기업 이익과 관련해 환율 리스크를 우려한다고 언급한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미국의 대표 기술 기업 아마존도 실적 발표에서 “1분기 실적 전망은 환율로 인해 이례적으로 큰 악영향을 예상하고 있다”며 달러 강세를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외환 전략가인 하워드 두는 “기업 최종 이익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것은 달러의 예상치 못한 상승”이라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달러화 강세가 한동안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S뱅코프의 폴라 커밍스 FX세일즈 대표는 “달러화 가치가 높은 수준에 머물고 이는 2025년 내내 지속될 것이라는 폭넓은 컨센서스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강달러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과 전적으로 일치한다”며 “우리는 달러가 강세를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취업이민 문호 진전 또 ‘급제동’
Visa,Green Card,Citizenship
559
아시안 이민자 유입 라틴계 추월했다
Talk & Talk
227
美 달러·주식·채권 \'트리플 약세\'... 일본 버블 붕괴 때와 비슷
Current Economy
163
FT \"트럼프가 쥔 패, 시진핑보다 약해… 조만간 항복할 것\"
Current Economy
147
구글, 또 수백명 감원… ‘군살빼기’ 지속
Job & Work Life
401
세금보고 마감 ‘내일’… 대행업체들 홍보전
Tax & Salary
554
“트럼프 때문에 미국 안 간다”… 관광업계 ‘직격탄’
Travel & Food
265
‘메타 제국’ 분할되나… 운명 가를 세기의 재판 열린다
Talk & Talk
291
교통티켓 받았다고 한인 유학생 ‘추방’
College Life
285
5월 7일부터 리얼ID법 시행… 꼭 필요하진 않아
Travel & Food
287
AI 툴로 아마존 코딩시험 통과 한인 명문대생 결국 \'중퇴\'
College Life
263
트럼프 3대 오판… 시장·물가·중국이 반대로 갔다
Current Economy
63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일주일 새 70원 가까이 \'널뛰기\'
Current Economy
102
이정후, 팀 새 역사 썼다…\"양키스 상대 멀티홈런 친 첫 자이언츠 선수\"
Talk & Talk
116
‘올해 4회 이상 내려야’ vs ‘금리 다시 올려야’
Current Economy
212
프라다, 베르사체 인수 LVMH·케링과 본격 경쟁
Talk & Talk
151
‘에어프레미아 불안’… 항공기 부족 구조적 문제
Travel & Food
203
3월 소비자 물가 상승세… 4년 만에 최저
Current Economy
181
신규 실업수당 22만3,000건… 4,000건 늘어
Job & Work Life
512
트럼프 행정부 무차별 이민자 추방 ‘일시 제동’
Talk & Talk
245
물러설 뜻 없는 시진핑 \"기댄 적 없으니 때려도 안 무섭다\"
Current Economy
112
中, 美에 재보복... 오늘부터 관세 84%→125%로 상향
Current Economy
75
아마존 등 온라인 상품가격도 대폭 상승
Current Economy
201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째 급락… 소비 ‘빨간불’
Current Economy
189
BMW, 관세 부담에 美 현지생산 확대 검토
Current Economy
141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
Current Economy
131
유럽 유니버설스튜디오 런던 인근에 들어선다
Travel & Food
141
‘가짜 학생’ 지원금 수백만불 샌다
College Life
117
세금보고 LA카운티는 6개월 연장 가능
Tax & Salary
431
불체 납세자 정보 이민국 넘긴다
Talk & Talk
90
한인 유학생들도 비자 취소 속출… ‘추방 공포’
College Life
130
백악관 “중국에 대한 합계 관세 125%가 아닌 145%”
Current Economy
73
SK하이닉스, D램 점유율 \'세계 1위\'… 삼성전자 첫 추월
Current Economy
140
\"통관 취소... 상하이港의 미국행 화물선박이 거의 사라졌다\"
Current Economy
74
트럼프 \"中 관세 125%로 더 올려... 다른 국가는 90일간 유예\"
Current Economy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