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월대비 상승률 0.5%로 1년5개월만에 최대…근원지수 상승률도 3.3% 정체
▶ 인플레 우려 재개에 美 국채금리 급등…주가↓·달러화↑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강세에 '깜짝 상승'을 나타내며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미국의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질 전망이다.
미 노동부는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물가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는 전월 대비 상승률도 2023년 8월(0.5%)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에너지 가격이 전월 대비 1.1% 올라 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휘발유 가격은 전년과 비교해선 0.2% 내렸지만 전월 대비로는 1.8% 상승했다.
식품 가격도 1월 중 전월 대비 0.4% 상승해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계란 가격이 전월 대비 15.2% 오르며 급등세를 지속했다. 이 같은 계란 가격 상승세는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체 월간 상승률의 약 30%에 기여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3.2∼3.3%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정책인 관세정책과 감세, 이민자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고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 대표지수와 근원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이 각각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를 0.1∼0.2%포인트 웃돌았다.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가 깜짝 상승을 기록하면서 채권 수익률을 급등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5분(미 동부시간) 기준 4.6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1bp(1bp=0.01%포인트)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10%포인트 오른 수치다.
뉴욕증시 정규장 개장 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 후 급락하며 전장 대비 1%대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화 가치도 급등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같은 시간 108.4로 전장 대비 0.4% 상승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3년 내 AI에 밀려날 것\"… 인력 감축 1위 전망 나온 이 직종
Job & Work Life
|
731 |
기름값 낮춰 인플레 완화… 감세로 기업 부담 감소
Current Economy
|
443 |
고금리·재고부족까지… 주택시장 ‘겹악재’
Current Economy
|
701 |
금값, 3,000달러 눈앞 수요에 올해 14% 상승
Current Economy
|
658 |
트럼프 경제 정책에 미국인들 ‘실망’… “저물가·성장 장담 어디갔나?”
Current Economy
|
683 |
‘헉!’… 사립대 1년 학비 10만불 시대
College Life
|
819 |
외국인 등록 의무화 “위반시 벌금·징역형”
Talk & Talk
|
314 |
DACA 수혜자, 오바마케어 가입 못한다
Talk & Talk
|
466 |
달러 사용 늘리고 국채수요 확대… 미 패권 유지 노림수
Current Economy
|
437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건…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
791 |
2월 도매물가, 계란값 급등 불구 전월대비 보합
Current Economy
|
535 |
과실 교통사고 시 보험료 최소 45%↑
U.S. Life & Tips
|
453 |
트럼프, 불법이민자 추방 위해 ‘적성국 국민법’ 곧 발동할듯
Talk & Talk
|
530 |
법원, 트럼프 정부에 ‘해고된 연방기관 수습 직원 복직’ 명령
Job & Work Life
|
798 |
결항 ·지연 밥먹듯...에어프레미아 왜?
Travel & Food
|
438 |
K조선의 힘으로 다시 태어났다... 美 군함, 수리 6개월만에 바다로
Talk & Talk
|
123 |
중국 농산물·캐나다 전력… 미국 급소만 골라 찔렀다
Current Economy
|
178 |
“가방 체크인 더 이상 공짜 아닙니다”…사우스웨스트,‘무료 수하물’ 폐지
Travel & Food
|
253 |
[대한항공 새 ‘CI’ 공개] 디자인·기내식까지 다 바꿨다… ‘통합 대한항공’ 새 날개
Travel & Food
|
220 |
“재산세 못 견디겠다”… 은퇴자들 뉴욕 등 탈출 러시
Talk & Talk
|
452 |
미 구인 시장은 여전히 뜨거워
Job & Work Life
|
711 |
美철강관세 강행·전세계 반발…트럼프발 글로벌무역전쟁 가열
Current Economy
|
474 |
미국법 위반하면 영주권자도 추방
Visa,Green Card,Citizenship
|
903 |
불체자 자발적으로 출국하라
Visa,Green Card,Citizenship
|
639 |
올 시즌 납세자 54%는 \'나홀로\' 세금보고
Tax & Salary
|
664 |
트럼프 정부, 연방교육부 직원 1300명 해고 추진
Job & Work Life
|
334 |
\"음식서 인공색소 전부 빼\"… 美 보건장관 불호령에 식품업계 비상
Travel & Food
|
355 |
대장암·폐암까지, 6개 암 막는다… \'신의 선물\'이라는 이 과일
Travel & Food
|
334 |
미 소비자물가 예상치 하회...침체 우려 해소하며 한숨 돌려
Current Economy
|
323 |
최고의 라면·최고의 셰프가 만났다
Travel & Food
|
278 |
1월 구인 규모 774만건…예상치 대체로 부합
Job & Work Life
|
502 |
트럼프 “과도기” 주장에도… 커지는 ‘R’(recession·경기침체) 우려
Current Economy
|
209 |
끝없이 치솟는 건강보험료… 15년새 1,000달러↑
Talk & Talk
|
248 |
작년 H-1B 비자 신청 \'40만건 돌파\'
Visa,Green Card,Citizenship
|
458 |
\"내 연금 괜찮을까\"… 소셜시큐리티 직원 12% 축소
Talk & Talk
|
3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