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월대비 상승률 0.5%로 1년5개월만에 최대…근원지수 상승률도 3.3% 정체
▶ 인플레 우려 재개에 美 국채금리 급등…주가↓·달러화↑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강세에 '깜짝 상승'을 나타내며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미국의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질 전망이다.
미 노동부는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물가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는 전월 대비 상승률도 2023년 8월(0.5%)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에너지 가격이 전월 대비 1.1% 올라 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휘발유 가격은 전년과 비교해선 0.2% 내렸지만 전월 대비로는 1.8% 상승했다.
식품 가격도 1월 중 전월 대비 0.4% 상승해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계란 가격이 전월 대비 15.2% 오르며 급등세를 지속했다. 이 같은 계란 가격 상승세는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체 월간 상승률의 약 30%에 기여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3.2∼3.3%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정책인 관세정책과 감세, 이민자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고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 대표지수와 근원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이 각각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를 0.1∼0.2%포인트 웃돌았다.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가 깜짝 상승을 기록하면서 채권 수익률을 급등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5분(미 동부시간) 기준 4.6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1bp(1bp=0.01%포인트)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10%포인트 오른 수치다.
뉴욕증시 정규장 개장 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 후 급락하며 전장 대비 1%대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화 가치도 급등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같은 시간 108.4로 전장 대비 0.4% 상승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본사 이전 앞둔 ‘엑스’…샌프란시스코시 “잔류 구걸 안 해”
Talk & Talk
|
2570 |
가주 의료비 부채, 크레딧스코어서 제외 추진
Talk & Talk
|
2155 |
노동절 연휴, 하늘길· 프리웨이 ‘북적’
Travel & Food
|
2650 |
전기차 충전소 확충에 5억달러 투입
Current Economy
|
2198 |
6월 주요 도시 주택가격 6.5% 상승… 사상 최고
Current Economy
|
2456 |
상업용 부동산 시장… 불황에도 지역 차별화
Current Economy
|
2637 |
‘물가’ vs ‘고용’… 연준, 금리인하 속도 ‘고심’
Current Economy
|
2330 |
고물가에 소비자들…‘비싼 건 안산다’
Current Economy
|
2290 |
노사문제…성장하는 세계 반도체 산업 새 위협
Job & Work Life
|
2118 |
‘꼭 필요한 것만 산다’… 소비지출 본격 둔화
Current Economy
|
2137 |
실업수당 청구 23만건…1만7,000건 감소
Job & Work Life
|
2570 |
밤낮 없는 텍스트·이메일…“직장인 괴롭다”
Job & Work Life
|
2591 |
한인 뷰티업체 렌트 못내 강제퇴거 소동
Talk & Talk
|
2843 |
코스트코 \"회원 카드 스캔 해야 입장\"
Talk & Talk
|
2209 |
“애플월릿에 신분증 보관하세요”
Talk & Talk
|
2864 |
원·달러 환율… 달러화 회복 속 1,377.60원 상승 마감
Current Economy
|
3275 |
“불법 독점” 구글에 철퇴…검색시장 재편되나
Talk & Talk
|
2835 |
미국민 카드빚 1조1,400억달러 ‘사상 최대’
Current Economy
|
2686 |
글로벌 증시, 3주간 6조4,000억달러 증발
Life in U.S.
|
2664 |
“연준 긴급인하 나서야”
Current Economy
|
3290 |
밴스 美공화당 부통령 후보를 키운 사람은 타이거맘 교수였다
Talk & Talk
|
2856 |
LAX서 우버타기는고역…이용객 불만 고조
Travel & Food
|
2776 |
흔들리는 미국 경제…초박빙 대선판에 초대형 변수 부상
Current Economy
|
1900 |
아에로멕시코, 인천-멕시코시티 직항 노선 재개
Travel & Food
|
1911 |
“금리 인하 했어야”… 연준 실기론 확산
Current Economy
|
2114 |
美고용둔화 따른 경착륙 우려 속 “패닉 빠질 필요없어” 신중론도
Current Economy
|
2319 |
경기 침체에 달러 약세…원달러 환율 10원 하락
Current Economy
|
2098 |
“연준, 연말까지 금리 1.25%p 내릴 것”
Current Economy
|
2056 |
고용 증가세 둔화…실업률 4.3%로↑
Job & Work Life
|
2423 |
7월 민간고용 12만명 증가… 6개월만에 최소
Job & Work Life
|
3158 |
안전자산 ‘위상’… 금값 고공행진
Current Economy
|
1260 |
물류업계 새 불안 요소… 사이버 공격↑
Talk & Talk
|
1965 |
미 경제 핵심, 제조업 경기 위축
Current Economy
|
1433 |
“미국도 ‘9월 금리 인하’ 깜빡이 켰다”
Current Economy
|
1585 |
아파트 렌트비 인상폭 8.9% 제한
Talk & Talk
|
20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