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값 1,500달러 오른다… 미 ‘인플레 부메랑’ 공포
By tfzxxxx Posted: 2025-02-12 10:14:52

▶ 트럼프 관세 전쟁
▶ 안전자산 금 수요늘며 연일 상승

▶ 미서 알루미늄·구리값 웃돈 붙어
▶ 상호관세 우려 커피 원두값도 쑥
▶ 도이체방크 미PCE 0.4%P↑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철강과 구리·커피 등 전 세계 주요 원자재와 상품 가격이 요동치고 있다. 경제 불안과 수입 물가 상승 우려에 안전자산 수요가 불붙는가 하면 미국 시장에서 더 비싸게 거래되는 시장 왜곡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금 선물은 역대 최고가인 트로이온스당 2934.4 달러에 마감했다. 올해 들어서만 일곱 번째 최고가다. 로이터통신은 “관세 계획에 따른 물가 상승과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로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의 금 수요가 미국에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런던금시장연합회(LBMA)에 따르면 금괴의 미국 운송 수요가 급증하면서 1월 런던 금고에 보관된 금 재고는 8535톤으로 전월 대비 1.7% 줄었다. 반면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창고에 보관된 금은 3460만 온스로 11월 말 이후 90% 이상 증가했다. 본격적으로 관세가 부과돼 미국 내 금 수입 가격이 오르기 전에 금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알루미늄과 구리 등 금속 원자재도 마찬가지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이날 파운드당 4.7달러로 톤당 기준으로는 한때 1만 달러를 넘었다. 런던금속거래소(LME)보다 톤당 800달러 비싸게 거래됐다. 2020년 초 이후 가장 큰 격차로 미국 시장에서 구리 수요가 몰린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이번 가격 상승의 배경으로 구리의 산업 수요가 아닌 관세를 지목하고 있다. 영국 투자은행(IB) 팬뮤어리버럼의 톰 프라이스 전략가는 “미국 시장의 높은 가격은 시장의 왜곡을 반영한다”며 “미국 구매자들은 원자재를 손에 넣기 위해 서로 경쟁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알루미늄 시장도 들썩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에 따르면 3월물 알루미늄 선물 거래에서 다른 시장 대비 미국 중서부 시장에 붙은 웃돈(미스웨스트 프리미엄)은 전 거래일보다 약 10% 오른 파운드당 30센트를 기록했다. JP모건은 “모든 국가에 관세가 부과되면 재고가 빨리 소진돼 미국 중서부 프리미엄이 파운드당 40센트가 넘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확산하고 있다. 7일 미시간대가 발표한 1월 소비자 조사에서 1년 인플레이션 기대는 4.3%로 한 달 전(3.3%)에 비해 1%포인트나 급등했다. 조사일인 4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멕시코·캐나다 대상 관세를 발표한 지 사흘 뒤였다. 딘 베이커 경제정책연구소(CEPR)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를 붙인다면 이를 사용하는 모든 제품의 가격이 오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특수 차량의 경우 약 1000파운드(약 453㎏)의 철이 쓰이며 가격은 6000~7000달러에 이른다. 25% 철강 관세는 미국 내 판매 가격을 1000~1500달러까지 끌어올리게 된다. 도이체방크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만으로 미국의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0.4%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봤다. 상호 관세 우려에 커피 원두 가격도 오르면서 미국 내 커피숍 가격도 불안해졌다. 이날 뉴욕 ICE선물거래소에서 커피 선물 가격은 파운드당 4.21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썼다.

트럼프 관세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줄고 있다. 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내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한 차례에 그칠 확률(35%)이 가장 높다. 야데니 리서치의 창립자인 에드 야데니는 “현재로서는 올해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4월 민간 고용 19만명 증가… 예상치 상회
Job & Work Life
2839
금리 관망 길어질 것… 인상설 일단 ‘수면 밑’
Current Economy
2109
미국·유럽·한국까지… 중국 ‘C커머스’ 침공 ‘비명’
Talk & Talk
2643
아카데미박물관, 윤여정 특별전
Travel & Food
2658
UCLA 캠퍼스 점거농성 반전시위 ‘강제해산’ 조명탄 쏘며 9시간 걸쳐 ‘진압’
Talk & Talk
2560
미국내 한인 인구 205만 명
Talk & Talk
2986
에어프레미아 기체 결함 ‘긴급회항’… 승객들 ‘공포’
Travel & Food
1232
연방 마약단속국 마리화나 규제 완화
Talk & Talk
3140
미 최고 해변에 가주 4곳 선정돼
Travel & Food
4083
미중 경쟁 수혜… 멕시코, 글로벌 ‘제조업 허브’ 부상
Current Economy
3628
유가, 80달러 이하 하락…수요 부진에 재고 증가
Current Economy
2634
50세 이상 4분의 1은 “저축없어 은퇴 못해”
Talk & Talk
2761
대기업 CEO 평균연봉 9%나 올라 1,570만달러
Tax & Salary
2876
한때 인기였는데… 사라지는 셀프 계산대
Talk & Talk
3218
“AI 거품 꺼지고 있어”… 수익성 등 부각
Talk & Talk
2953
3월 구인 850만건… 3년래 최저
Job & Work Life
3128
“우려했던 금리인상 없어”… 첫 인하 9월에 ‘무게’
Current Economy
2759
\'무설탕\' 소주라더니... 일반 소주와 당류·열량 비슷
Travel & Food
887
물가 뛰고 인건비 날고... 美 덮친 ‘금리인하 불발 공포’
Current Economy
1094
“K-의료관광 가요”… 지난해 급증
Travel & Food
3133
패스트푸드 10% 이상 올랐다
Travel & Food
3650
유통업체 ‘배송 속도 경쟁’ 더 가열
Talk & Talk
3514
차량 ‘자동비상 제동장치’ 의무화
Talk & Talk
2932
연준 금리동결 전망…‘인플레 여전히 높다’
Current Economy
2851
‘고객 위치정보 공유’ 관행에 거액 벌금
Talk & Talk
2937
“올해 마더스데이 효도선물 특수 잡아라”
Talk & Talk
2998
가주 ‘엑소더스’ 끝났나… 작년 인구 반등
Talk & Talk
2870
“인재들 공부 전념하도록”… 한인사회 장학금 ‘봇물’
College Life
2909
입학 땐 팬데믹… 졸업 앞두니 반전시위 ‘몸살’
College Life
2796
차 보험대란 속 사소한 규정 위반 꼬투리 ‘횡포’
Talk & Talk
695
“영주권자 사회복무요원도 귀가여비 줘야”
Talk & Talk
1048
뉴욕 방문시 ‘교통혼잡세’ 주의
Travel & Food
2476
졸지에 1살 아기된 101세 할머니… 무슨 일이
Travel & Food
521
대학가 가자전쟁 항의 ‘들불’… 베트남 반전시위 데자뷔
Talk & Talk
727
美 ‘조류인플루엔자 젖소 감염’ 확산…당국, 가공 쇠고기 조사
Talk & Talk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