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진출 한국 기업 525곳… “필요땐 생산지 조정”
By whyxxxx Posted: 2025-02-07 16:06:46

▶ 북미 투자기업 단기충격 불가피
▶ 작년 대 멕시코 투자 역대 최고
▶ 고율관세 탓 대미 수출 직격탄

▶ “할인판매로 수익성에 악영향”
▶ 외신 “다음 타깃은 한국·대만”
▶ 환율 1470원대로 치솟을 수도

 

 

미국이 캐나다산 원유와 가스를 제외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외 없이 25%의 관세를 4일(현지 시간)부터 부과하기로 하면서 이들 국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비상등이 켜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고 상대 국가들이 보복 시 관세를 더 높이겠다고 밝혀 중간재 수출이 많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2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기준 한국의 대(對)멕시코 직접투자액은 전년 대비 60.1% 증가한 12억 700만 달러(약 1조 7600억 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대멕시코 투자 실적이 있는 국내 기업만 525곳에 달한다. 이는 2021년 미중 갈등 이후 멕시코가 니어쇼어링(미국 인접국으로 생산기지 이전) 핵심 지역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멕시코에 진출한 국내 기업만 해도 삼성전자와 LG전자·기아·현대모비스·한국타이어 등 가전과 자동차·철강·타이어 업체들이 망라돼 있다. 특히 멕시코 투자 업종의 84%가 자동차와 부품·가전 등 제조업이다. 이들 업체의 경우 수출 상품의 상당수가 미국으로 가는데 이번 고율 관세를 피해갈 수 없게 됐다.

실제로 기아는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서 ‘K4’를 연간 12만 대 생산해 미국에 수출한다. 올해는 ‘EV3’도 추가된다. 현대트랜시스와 현대모비스 역시 차량용 변속기와 자동차 부품을 멕시코에서 생산 중이다. 앞서 기아는 “가격 인상을 통한 흡수라든지 생산지 조정을 검토 중”이라고 했지만 일정 수준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국의 멕시코산 제품 25% 관세 부과 시 기아의 예상 손실액은 연 9000억 원가량이다. 산업연구원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대미 자동차 수출이 최소 7.7%에서 최대 13.6%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관세가 붙은 상태에서 판매를 늘리기 위해서는 할인을 대거 해야 한다”며 “완성차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은 결국 올해 출혈 경쟁 상태에 놓이게 돼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가전도 상황은 비슷하다. 삼성전자는 멕시코 티후아나 공장에서 TV를, 케레타로 공장에서 냉장고와 세탁기 등을 생산한다. LG전자는 레이노사에서 TV, 몬테레이에서는 냉장고와 오븐 등을 만든다. 세탁기의 경우 삼성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에, LG는 테네시에 생산 공장을 갖추고 있지만 미국 공급 물량이 많은 TV는 관세 인상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캐나다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합작공장이 배터리 모듈을 양산한다.

문제는 인건비와 환율 등을 고려하면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도 어려움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주제네바 대사를 지낸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펜타닐과 불법 이민 등을 문제 삼아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에 거꾸로 보면 이 조건이 충족되면 타협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이들 국가가 트럼프의 체면을 세워주면 25% 관세가 10%로 내려가는 식으로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산업연구원은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한국 등 주요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경제의 명목 부가가치가 2022년 대비 7조 8900억 원(0.34%)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역시 미국이 양자 자유무역협정(FTA)이 있는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에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이들 국가가 맞대응하면 한국 수출이 최대 448억달러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경우 국내총생산(GDP)도 0.29∼0.69%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환율도 요동칠 수 있다. 최진호 우리은행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트럼프 정책의 수위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1470~1480원대를 재돌파할 여지를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이 미국의 직접적인 타깃이 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3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뼈대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반도체와 철강 등 한국의 주력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도 부담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시급 25% 인상’에도…못 웃는 패스트푸드 직원들
Job & Work Life
857
‘선거 매니저·기술 작가’…세상에 없던 AI 직군 등장
Job & Work Life
1009
스웨덴 32번째로 합류…나토 ‘발트해 러 포위망’ 완성
Talk & Talk
171
한남체인, 부당해고·노동법 위반 줄소송 당해
Job & Work Life
451
창업 1년도 안돼 MS 손잡았다…프랑스 AI 이끄는 31세 훈남
Talk & Talk
376
\"워너브러더스-파라마운트, 인수합병 협상 중단\"
Talk & Talk
274
美백악관 \"우크라에 파병 안 한다\"…파병 주장에 선 그어
Talk & Talk
1291
\"애플, 10년 공들인 자율주행 애플카 포기…AI부서로 대거 이동\"
Talk & Talk
1467
\'떡볶이·달고나\' 英옥스퍼드 영어사전에 한식 단어 대거 오를 듯
Talk & Talk
1717
올해 성장률 1.3% →2.2%로 상향…실물경제협회 전망치 발표
Talk & Talk
1505
FTC, 크로거-앨버트슨 인수 합병에 제동…\"식료품 추가인상 이어질 것\"
Talk & Talk
1552
헤드셋 켜면 3차원 오피스가 눈 앞에…MS 출시 아바타 가상회의 툴
Talk & Talk
1637
렌트비 인상 멈췄다…1월 들어 전년 대비 5불 감소
Talk & Talk
1678
전문직 취업비자 발급 거부율 증가…대부분 10개 미만 신청 기업
Visa,Green Card,Citizenship
1554
미국민 53% \"국경 담장 쌓자\"…대선 코앞 불법이민 이슈 부각
Talk & Talk
1519
[북챗] 3월 온라인 독서모임 모집중 - 클루지/ 48 Laws of Power / 페스트
U.S. Life & Tips
3927
실업수당 1만2,000건 감소…계속 수급자도 2만건 줄어
Job & Work Life
1779
“2014년 페이스북 같다”…기술 인재 몰려드는 엔비디아
Job & Work Life
1445
조지아주'현대의 날’ 선포… “4분기부터 전기차 생산 개시"
Talk & Talk
1549
중남미 찾는 방문객 ‘뎅기열 주의보’…발병 사례 급증세
Travel & Food
1841
시민권 빠르면 6개월만에 받는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1766
연방 소득세 환급액 평균 3207불
Tax & Salary
1969
美 ‘중산층 상징’ 메이시스 백화점, 대규모 점포 정리…150개 점포 폐쇄
Talk & Talk
1605
프리미엄 프로세싱 수수료도 오른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697
E 스포츠와 미국 비자
Visa,Green Card,Citizenship
536
‘한글’ 들어간 코카콜라 글로벌 출시
Travel & Food
398
골드만삭스, 5월 금리인하 가능성 철회
Talk & Talk
612
한국산 명란젓·창란젓 등 미국 수출 중단
Travel & Food
1092
중산층, 주택·육아비·식료품 폭탄 ‘허덕’
Talk & Talk
504
상업용 부동산 위기 고조… 압류건수 전년비 2배↑
Talk & Talk
537
“각종 팁 꼼수 주의하세요”
Talk & Talk
2452
카드 정보 빼가는 \'스키밍\' 사기 기승…재무부, ATM 사용 주의 당부
Talk & Talk
426
유통량 최대인 미국 100달러 지폐, 쓰기는 가장 어려워
Talk & Talk
2041
지난해 사기 피해액 100억불 돌파…투자 사기만 46억불
Talk & Talk
4408
[FOCUS] 자녀 없는 맞벌이, 전체의 43%…순자산 가장 많다
Talk & Talk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