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진출 한국 기업 525곳… “필요땐 생산지 조정”
By whyxxxx Posted: 2025-02-07 16:06:46

▶ 북미 투자기업 단기충격 불가피
▶ 작년 대 멕시코 투자 역대 최고
▶ 고율관세 탓 대미 수출 직격탄

▶ “할인판매로 수익성에 악영향”
▶ 외신 “다음 타깃은 한국·대만”
▶ 환율 1470원대로 치솟을 수도

 

 

미국이 캐나다산 원유와 가스를 제외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외 없이 25%의 관세를 4일(현지 시간)부터 부과하기로 하면서 이들 국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비상등이 켜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고 상대 국가들이 보복 시 관세를 더 높이겠다고 밝혀 중간재 수출이 많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2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기준 한국의 대(對)멕시코 직접투자액은 전년 대비 60.1% 증가한 12억 700만 달러(약 1조 7600억 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대멕시코 투자 실적이 있는 국내 기업만 525곳에 달한다. 이는 2021년 미중 갈등 이후 멕시코가 니어쇼어링(미국 인접국으로 생산기지 이전) 핵심 지역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멕시코에 진출한 국내 기업만 해도 삼성전자와 LG전자·기아·현대모비스·한국타이어 등 가전과 자동차·철강·타이어 업체들이 망라돼 있다. 특히 멕시코 투자 업종의 84%가 자동차와 부품·가전 등 제조업이다. 이들 업체의 경우 수출 상품의 상당수가 미국으로 가는데 이번 고율 관세를 피해갈 수 없게 됐다.

실제로 기아는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서 ‘K4’를 연간 12만 대 생산해 미국에 수출한다. 올해는 ‘EV3’도 추가된다. 현대트랜시스와 현대모비스 역시 차량용 변속기와 자동차 부품을 멕시코에서 생산 중이다. 앞서 기아는 “가격 인상을 통한 흡수라든지 생산지 조정을 검토 중”이라고 했지만 일정 수준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국의 멕시코산 제품 25% 관세 부과 시 기아의 예상 손실액은 연 9000억 원가량이다. 산업연구원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대미 자동차 수출이 최소 7.7%에서 최대 13.6%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관세가 붙은 상태에서 판매를 늘리기 위해서는 할인을 대거 해야 한다”며 “완성차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은 결국 올해 출혈 경쟁 상태에 놓이게 돼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가전도 상황은 비슷하다. 삼성전자는 멕시코 티후아나 공장에서 TV를, 케레타로 공장에서 냉장고와 세탁기 등을 생산한다. LG전자는 레이노사에서 TV, 몬테레이에서는 냉장고와 오븐 등을 만든다. 세탁기의 경우 삼성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에, LG는 테네시에 생산 공장을 갖추고 있지만 미국 공급 물량이 많은 TV는 관세 인상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캐나다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합작공장이 배터리 모듈을 양산한다.

문제는 인건비와 환율 등을 고려하면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도 어려움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주제네바 대사를 지낸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펜타닐과 불법 이민 등을 문제 삼아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에 거꾸로 보면 이 조건이 충족되면 타협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이들 국가가 트럼프의 체면을 세워주면 25% 관세가 10%로 내려가는 식으로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산업연구원은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한국 등 주요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경제의 명목 부가가치가 2022년 대비 7조 8900억 원(0.34%)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역시 미국이 양자 자유무역협정(FTA)이 있는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에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이들 국가가 맞대응하면 한국 수출이 최대 448억달러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경우 국내총생산(GDP)도 0.29∼0.69%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환율도 요동칠 수 있다. 최진호 우리은행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트럼프 정책의 수위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1470~1480원대를 재돌파할 여지를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이 미국의 직접적인 타깃이 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3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뼈대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반도체와 철강 등 한국의 주력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도 부담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리펀드 빨리 받으려면 온라인 보고, 디렉트 디파짓 선택
Tax & Salary
1428
LA산불, 부동산 시장 지형 바꾼다
Talk & Talk
1019
트럼프, 국경 비상사태 선포…행정명령으로 反이민정책 본격화
Talk & Talk
1415
“해외 매출성장 1등 공신” 대기업도 숏폼 뛰어든다
Current Economy
1605
트럼프, ‘불법체류 외국인 자녀 시민권 제한’ 행정명령 서명
Talk & Talk
2012
관세폭탄·동맹 겁박·공급망 와해… ‘게임의 룰’ 바뀐다
Current Economy
1985
‘킹달러’ 에 세계 경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경고음
Current Economy
2470
트럼프 \"미국의 황금기는 지금부터\"... 47대 대통령 취임
Talk & Talk
1735
MS, 개인·가정용 ‘365’ 가격 인상
Talk & Talk
1935
‘글로벌 최저한세’… 트럼프 관세전쟁 트리거 되나
Current Economy
1759
‘팁 문화’ 피로감↑… 금액 지속 감소
Talk & Talk
2066
누그러진 물가지표… 금리인하 기대감 살아나
Current Economy
1987
주택 보험 가입 진짜 힘드네… LA 산불로 더 오를 전망
Talk & Talk
1953
육아휴직 급여 90% 지급ㆍ프리랜서 보호 강화
Job & Work Life
2377
구인공고 \'조심\'.. 5개 중 1개는 ‘가짜\"
Job & Work Life
1685
트럼프노믹스 2.0, 세 바퀴로 굴러간다
Current Economy
2213
이재민 보금자리 귀환 언제쯤…
Talk & Talk
1841
IMF, 올해 세계 성장률 3.2%→3.3%로 올려…美 독보적 성장 반영
Current Economy
1733
“보편관세 매월 인상” 2~5% 점진적 올린다
Current Economy
1575
트럼프 취임식, 북극한파에 실내행사로…레이건 이후 40년만
Talk & Talk
3076
LA-Caregiver 간병인 구합니다. 5
Part Time Jobs
398
\"CIA 요원만 입장 가능\" 창문도, 간판도 없는 스타벅스의 비밀
Talk & Talk
1255
산불 틈타 피해자 대상 폭리 렌트 ‘바가지’ 기승
Talk & Talk
2213
메타 “성과 저조한 직원 5% 감원”
Job & Work Life
2101
다시 트럼프 시대… ‘타이틀 42’ 등 100개 행정명령 서명
Talk & Talk
1200
틱톡 서비스 19일부터 중단 가능
Talk & Talk
1840
비트코인 10만달러 탈환 이더리움·리플 등 급등
Current Economy
1499
소비자물가 전년비 2.9% 상승
Current Economy
1503
LA 산불 보험손실 규모, 역사상 최고
Talk & Talk
1111
타이거 우즈의 스크린골프 실력은? TGL 데뷔전 치러
Talk & Talk
427
美 하원, 트랜스젠더 여성 스포츠 활동 금지 법안 가결
Talk & Talk
379
휴머노이드가 車 조립하니… 정확도 7배, 속도 4배
Job & Work Life
1888
LA화마 잿더미 속 살아남은 게티미술관... 비결은?
Talk & Talk
1601
전쟁 467일 만에…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전격 합의
Talk & Talk
1864
작년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9%↑…예상 부합
Current Economy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