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 관세 전면전 땐 미국 GDP 4년간 550억달러 증발
By iuixxxx Posted: 2025-02-06 10:15:19

▶ 중, 트럼프 추가관세에 맞불
▶ 보복관세·구글 조사 ‘전방위 압박’

▶ 반도체 소재 텅스텐 수출통제도
▶ 트럼프 “대화할것” 협상 열어놨지만 일각선 대중관세 35%P 인상 전망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갈등을 감수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 나온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 등에 대해 이같이 논평했다. 중국은 이날 보복관세와 미국 거대기술기업(빅테크)에 대한 반독점 조사, 핵심 광물 수출 제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전 분야를 망라한 조치를 줄줄이 발표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무역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추가 관세가 발효되자마자 보복관세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에 따르면 10일부터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와 대형차량, 픽업트럭, 농업기계에는 10%의 관세가 부과된다. 다만 중국이 미국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만큼 미국에 맞대응하겠다는 신호는 보내면서도 자국 경제에는 피해를 적게 주는 조치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은 기업 조사 카드도 꺼냈다. 미국 대표 빅테크 기업인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 조사를 펴겠다고 밝혔다. 또 캘빈클라인·토미힐피거 등을 보유한 패션 기업 PVH그룹, 유전체 분석 세계 1위 일루미나 등 주요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업체’ 명단에 올리며 압박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이 명단에 오르면 중국 내 판매 및 활동이 제한되고 중국 투자가 금지되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블룸버그는 “구글의 경우 2010년 중국에서 철수해 영업 분야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번 조치는 상징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 외에 중국 상무부는 텅스텐·텔루륨·비스무트·몰리브덴·인듐 등의 수출통제 조치도 발표했다. 텅스텐은 무기·반도체에 필수적인 것으로 중국이 세계 공급의 80% 이상을 차지해 미국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텅스텐의 4분의 1 이상을 중국에 의존해왔으며 다른 주요 공급국은 러시아 등이기 때문에 대안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10% 대중 추가 관세 조치를 WTO에 제소하겠다고 하면서 “(미국의 이번 조치는) 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며 본질적으로 극악무도하다”는 말폭탄까지 날렸다. 그러면서 “미국의 행위는 규칙 기반의 다자간 무역 체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중국과 미국의 경제 및 무역 협력 기반을 흔들며 글로벌 산업 및 공급망 안정성을 파괴한다”며 규칙 기반의 다자 질서를 설파해온 미국의 논리로 미국을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조치가 미국의 10% 관세 부과 조치에 가만 있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본 투자은행(IB) 노무라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 1, 2기를 통틀어 단일 관세정책 발표 기준으로는 최대 폭의 관세 인상”이라고 짚었다. 특히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소 기준 면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하며 테무·쉬인 등 중국 쇼핑플랫폼을 정조준한 것이 파괴력이 크다는 진단이다. 미국 정부가 공개한 대중 관세 관련 세부 내용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와 함께 ‘최소 기준 면제’ 철폐가 적시돼 있다. 현재 미국 내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데 중국산에는 이 면제 조항을 적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 조항을 이용해 미국 내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한 테무·쉬인을 겨냥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특히 테무는 이를 통해 미국 내에서 아마존을 위협해왔다.

한편 주요 2개국(G2) 무역전쟁의 막이 본격 오르면서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거센 폭풍이 밀려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는 미국이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4년간 미국 국내총생산(GDP)가 550억 달러(약 80조 4000억 원) 증발하고 중국은 1280억 달러(약 187조 1000억 원)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4년에 걸쳐 0.2%포인트 오르고 중국은 0.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10% 보편관세가 중국의 올 성장률을 0.5%포인트 낮출 것으로 봤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내년부터 소셜연금 만기 연령 상향
Talk & Talk
2060
“트럼프, 전기차 지원 폐지”… 현대차·배터리 타격 불가피
Current Economy
1889
AI에 돈 쓰느라 직원들 공짜 마사지·공짜 밥 중단
Job & Work Life
2070
새해에도 영주권 문호 답보 지속
Visa,Green Card,Citizenship
2261
트럼프 “서머타임 폐지해야” 불편하고 비용 많이 들어”
Talk & Talk
2417
샤핑객 들뜨기 쉬운 연말… 연말 맞춤형 사기 극성
Talk & Talk
2044
세계 경제 들었다 놨다 하는 미국의 무기… 연준의 금리 정책
Current Economy
2102
내년 가주 자동차 보험료 17.7% 오른다
Talk & Talk
2145
미 경제 ‘나홀로’ 성장…“실패에 관대·도전정신 문화”
Current Economy
2131
미국인 3명중 1명… 연말 샤핑시즌‘ 사재기’
Talk & Talk
1801
LA 카운티 최대 사기업…‘트레이더 조스’
Talk & Talk
1837
“화재보험 가입 더 쉽게”… 가주, 보험규정 개정
Talk & Talk
2220
차량 책임보험 의무한도 2배 오른다
Talk & Talk
2630
구글, 삼성전자 손 잡고 \'무한 도전\'...\'안드로이드XR\' 공개
Talk & Talk
2158
유나이티드헬스그룹 회장 “美 의료시스템 결함…개혁 필요”
Talk & Talk
1886
트럼프 “자동화 대신 노동자 고용해야”… 항만노조 입장 지지
Job & Work Life
2082
도매물가 예상 밖 상승…11월, 전월대비 0.4%↑
Current Economy
2211
할리웃 차병원 ‘산모에 최고’ 선정
Talk & Talk
2000
“내년 금리인하 속도 조절” 전망
Current Economy
2206
‘스테이트팜’ 철수 1년만에 가주서 보험판매 재개
Talk & Talk
1768
“은행 ‘초과인출 수수료’ 최고 5달러로 제한”
Talk & Talk
2032
‘트럼프 관세’에 술값 오르나
Travel & Food
1921
11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7%↑
Current Economy
2396
2년 간 현행 유지 후 ‘마일리지 통합비율’ 결정
Travel & Food
2286
‘태극 마크’ ‘색동 날개’ 이젠 한 식구
Travel & Food
2337
LA 미터기 주차, 문자로 결제
U.S. Life & Tips
2441
DACA 수혜자 오바마케어 ‘제한’
Talk & Talk
2309
가주 최저임금 인상… 총기거래 규제 강화
Talk & Talk
1874
알래스카항공도 한국 노선 취항
Travel & Food
1652
“여성 이사 많을수록 실적 좋네”
Job & Work Life
2601
“연준, 12월·1월 연속 금리인하 전망”
Current Economy
2349
‘환율 요동’ 유학생·주재원 ‘발동동’… 한국 방어 안간힘
Current Economy
1701
제보만 해도 143억원 현상금... 美 FBI가 필사적으로 찾는 이들
Talk & Talk
2025
쩍쩍 메마른 세계 최대 원두의 나라… \"커피값 더 비싸진다\"
Travel & Food
1814
원·달러 환율 불안 계속 15원 급등 1,435원 마감
Current Economy
2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