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위 경제대국 무역전쟁
▶ 스마트폰 등 무차별 적용
▶ 중, 원유·자동차 등 맞불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은 이에 보복관세로 대응하면서 1,2위 경제대국 간 무역전쟁이 시작됐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등의 문제로 중국에 대해 예고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4일부로 공식 발효됐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임기가 시작하고서 정확히 보름만이다.
지금까지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약 20%의 관세율이 적용됐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이제부터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들에 10% 더 높은 평균 3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미 관세를 올린 중국의 전략산업 분야 중 전기차의 관세율은 100%에서 110%로,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올랐다.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기 때와 달리 대중 추가 관세 대상에 예외를 두지 않는 강수를 뒀다는 점이다. 이번 대중국 10% 관세 부과가 지속된다면 지금껏 무관세로 수입되던 아이폰을 포함한 여러 중국산 IT·가전 제품군의 미국 가격 인상 요인이 벌어지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유예한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중국과도 24시간 안에 대화하겠다고 밝혀 대중 관세도 유예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었지만, 반전은 없었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가 발효되자 즉각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의 관세를 추가하고, 원유·농기계를 비롯해 대배기량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아울러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같은 희소금속을 포함한 원료의 대미 수출을 허가제로 돌리는 통제 조치도 발표했다.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중 하나인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조사도 개시하기로 했다. 중국은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선제공격’으로 촉발된 미·중 간 무역전쟁은 그러나 양국 정상 간 대화를 통해 극적으로 유예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고한 관세 조치는 발효를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두 나라 정상 간에 통화가 이뤄지면서 시행이 한 달간 유예됐다.
중국 국무원이 대미 보복관세 조치를 발표하면서 발효 시점을 오는 10일로 설정한 가운데, 이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양국 정상의 통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는 무역전쟁이 시작된 지 18개월 만에 2020년 1월 양국이 이른바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하면서 갈등이 봉합된 적이 있다. 당시 중국은 2020∼2021년까지 미국 제품 구매를 최소 2,000억달러 늘리기로 했고,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수입 확대를 대가로 광범위한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고율관세 부과를 보류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와인·위스키병도 재활용 내년부터 10센트씩 준다
Talk & Talk
|
2160 |
남가주 해안가 홍수 주의보
Talk & Talk
|
5732 |
술 덜 마시는 Z세대…\'목 타는\' 미국 맥주회사들
Travel & Food
|
2221 |
모기지 금리 두 달째 하락세…30년 고정 평균 이자율 6.6%
Talk & Talk
|
1158 |
정부 부처·은행 등 쉬고 한인 마켓·식당들은 영업
Talk & Talk
|
2348 |
퇴거소송 8년내 최다…4만6000건 전년 대비 30%↑
Talk & Talk
|
2660 |
[가주 급여투명법 시행 1년 점검] 급여 수준 광범위·무성의 광고 개선 필요
Tax & Salary
|
3514 |
오바마케어 가입자 급증 ‘사상 최다’
Talk & Talk
|
294 |
새해부터 한국 방문시 향수 100㎖까지 면세
Travel & Food
|
527 |
“마법 같은 날짜 123123” 올해 결혼기념일로 인기 폭발
Talk & Talk
|
614 |
내년 세계 경제 키워드는‘C·R·I·S·I·S’
Talk & Talk
|
871 |
나스닥, IPO 경쟁에서 뉴욕거래소 눌러
Talk & Talk
|
722 |
서랍서 잠들고 있는 기프트 카드 어떻게 되나
Talk & Talk
|
331 |
“하이브리드 나가신다… 전기차는 비켜라”
Talk & Talk
|
1474 |
남가주 식당 25곳 미슐랭에 추가…\'바루\' 등 한식당도 3곳 선정
Travel & Food
|
1742 |
북미·유로존 내년 물가 상승 정상화
Talk & Talk
|
1894 |
美학교서 스마트폰 \'잠금 주머니\' 인기…개발업체 \'대박\'
Talk & Talk
|
1825 |
현실판 터미네이터? 테슬라 공장 로봇, 또 근로자 공격했다
Job & Work Life
|
1740 |
이민심사 급행수수료 인상…최대 305달러, 내년 2월부터
Visa,Green Card,Citizenship
|
1269 |
세금 전자보고 땐 10일 내 환급…내년부터 11일까지 단축
Tax & Salary
|
1873 |
마리화나 업계 근무하면 시민권 거부당할 수 있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
1580 |
“나도 기내 기어갔다”…장애인들 고충 잇따라
Travel & Food
|
2513 |
내년 25개주 최저 임금 인상…가주 3.23% 오른 16달러
Tax & Salary
|
2666 |
‘콜록콜록’ 호흡기 환자 병원들 ‘북적’
Live Updates (COVID-19, etc.)
|
5097 |
재외동포 예산 2배 늘었다
Talk & Talk
|
2963 |
가족관계증명 수수료 재외공관 1달러 통일
Talk & Talk
|
2492 |
새해 LAX 교통체증 사라질까
Talk & Talk
|
6077 |
MS, 인공지능 챗봇 ‘코파일럿’ 안드로이드용 앱 출시
Talk & Talk
|
2943 |
자동차 판매가 허위 표기·낚시 광고 등 전면 금지
Talk & Talk
|
3518 |
“비싼 집 사느니 차라리 편하게 렌트로 살래”
Talk & Talk
|
3339 |
미, 전기차 관세인상 ‘만지작’… 중, 드론 등 수출 통제
Talk & Talk
|
3246 |
초등생도 과다복용 오피오이드 확산…날록손 학교 배치 촉구
Talk & Talk
|
6149 |
피자헛, 가주 모든 배달 직원 해고
Job & Work Life
|
3963 |
미국에서 올해 4만2천명 총맞아 죽었다
Talk & Talk
|
3767 |
디즈니, 한국 돌잡이 소개 애니메이션
Talk & Talk
|
29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