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중 추가관세 10% 부과
By gxmxxxx Posted: 2025-02-05 10:11:51

▶ 1·2위 경제대국 무역전쟁

▶ 스마트폰 등 무차별 적용
▶ 중, 원유·자동차 등 맞불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은 이에 보복관세로 대응하면서 1,2위 경제대국 간 무역전쟁이 시작됐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등의 문제로 중국에 대해 예고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4일부로 공식 발효됐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임기가 시작하고서 정확히 보름만이다.

지금까지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약 20%의 관세율이 적용됐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이제부터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들에 10% 더 높은 평균 3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미 관세를 올린 중국의 전략산업 분야 중 전기차의 관세율은 100%에서 110%로,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올랐다.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기 때와 달리 대중 추가 관세 대상에 예외를 두지 않는 강수를 뒀다는 점이다. 이번 대중국 10% 관세 부과가 지속된다면 지금껏 무관세로 수입되던 아이폰을 포함한 여러 중국산 IT·가전 제품군의 미국 가격 인상 요인이 벌어지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유예한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중국과도 24시간 안에 대화하겠다고 밝혀 대중 관세도 유예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었지만, 반전은 없었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가 발효되자 즉각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의 관세를 추가하고, 원유·농기계를 비롯해 대배기량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아울러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같은 희소금속을 포함한 원료의 대미 수출을 허가제로 돌리는 통제 조치도 발표했다.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중 하나인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조사도 개시하기로 했다. 중국은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선제공격’으로 촉발된 미·중 간 무역전쟁은 그러나 양국 정상 간 대화를 통해 극적으로 유예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고한 관세 조치는 발효를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두 나라 정상 간에 통화가 이뤄지면서 시행이 한 달간 유예됐다.

중국 국무원이 대미 보복관세 조치를 발표하면서 발효 시점을 오는 10일로 설정한 가운데, 이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양국 정상의 통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는 무역전쟁이 시작된 지 18개월 만에 2020년 1월 양국이 이른바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하면서 갈등이 봉합된 적이 있다. 당시 중국은 2020∼2021년까지 미국 제품 구매를 최소 2,000억달러 늘리기로 했고,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수입 확대를 대가로 광범위한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고율관세 부과를 보류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텍사스주도 댈러스에 \'한인타운\' 공식 지정
Talk & Talk
5232
가로등 꺼진 프리웨이, 위험한 밤길…LA카운티 40% 작동불가
Talk & Talk
2163
\"기업 탐욕에 의한 인플레, 침체 막는 데 도움 될 수도\"
Talk & Talk
1601
연휴 LAX 북새통…120만명 이용…팬데믹 이후 최다 이용객 예상
Travel & Food
2380
승객 폭증에 항공 수하물 피해 25% 급증
Travel & Food
1933
北 IT인력 수천명 위장취업...월급 90% 송금, 핵개발 자금으로
Job & Work Life
5452
중소기업 “돈 빌리기 힘들다”
Job & Work Life
5349
대한항공 LA노선 주 1회 임시 증편
Travel & Food
3524
미국 심장에 ‘6.5m 숯덩이’ 우뚝 선다
Talk & Talk
3679
고령화 점점 더 빨라진다
Talk & Talk
3394
모기지 7%대, 1년새 신청 30% ↓
Talk & Talk
3509
라면·건설·바이오·로봇…한국기업 몰려온다
Talk & Talk
3457
[수요 인터뷰 - 차세대 리더를 만나다] 커뮤니티 4050 대표주자 “도전은 나의 천직”
Talk & Talk
2535
“아시아나항공 통해 코레일 철도 구매”
Travel & Food
2547
외국 출신 노동력 비율 27년만에 최고치
Job & Work Life
4104
코로나 후 10명 중 8명 재택…일자리 최우선 고려요인은 임금
Job & Work Life
4561
‘베트남 참전 한국인에 보훈혜택’
Talk & Talk
2409
JP모건 \"주식 줄이는 대신 금 사고 현금 보유하라\"
Talk & Talk
3172
기온 2.7도 상승의 무서운 전망…인구 40% 뜨거운 땅 내몰린다
Talk & Talk
4801
넷플릭스, 美서 계정 공유 금지…\"월 8달러 내고 구독 추가해야\"
Talk & Talk
1137
에어프레미아, 인천-뉴욕 노선 취항…이번 주부터 주 4회 운항
Travel & Food
1912
전국 최고 부촌 10곳 중 7곳은 가주…베벌리힐스·뉴포트비치
Talk & Talk
3370
코로나 지원금 여전히 신청 가능…경제적 기회 지원금 31일 마감
Job & Work Life
6187
\"가주, 올여름 더 덥다\"…8월 평균 90도 예상
Talk & Talk
1802
메모리얼데이 연휴 음주운전 집중단속…가용 경찰력 총동원
U.S. Life & Tips
1598
비싸고 충전 불편…전기차 호감도 식었다
Talk & Talk
1352
K푸드 열풍의 착시 현상…아시안 식당 수 한식 6위
Travel & Food
1129
출근과 재택 병행…‘하이브리드 근무’ 대세
Job & Work Life
7085
“이사하고 싶지만 3%대 모기지 절대 포기 못해”
Talk & Talk
6085
CJ 냉동피자 공장 완공…세계 최대규모 캔자스에
Talk & Talk
5802
단기 임대수입 15% 과세 추진
Tax & Salary
5409
건강저축계좌(HSA) 적립금 한도액 인상
Tax & Salary
6215
팬데믹 종식 후 첫 연휴, 한인 여행객 몰린다
Travel & Food
5445
미 가정들 인플레에 직격탄… \'살림살이 악화\' 10년래 최고
Talk & Talk
6901
UBS “금값 앞으로 계속 오른다”
Talk & Talk
4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