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민 45% ‘출생시민권 폐지 찬성’
By 127xxxx Posted: 2025-02-05 10:07:33

▶ 에머슨 칼리지 여론조사

▶ 아시안 응답자 46.1% 백인은 47%가 “지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출생 시민권(birthright citizenship) 폐지 정책에 대해 미국민들 사이에 찬성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에머슨 칼리지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출생시민권 폐지 추진에 대해 찬성 45%, 반대 37%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지난달 27~28일 동안 미국내 등록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다.

인종별로 보면 아시안과 백인은 찬성 비율이 반대보다 높았고, 히스패닉과 흑인은 반대 입장이 더 많았다. 아시안 응답자의 경우 46.1%가 출생시민권 폐지에 지지 입장을 밝혔고, 25.2%는 반대 의견을 냈다. 이외에 ▲백인 찬성 47%, 반대 36.7% ▲히스패닉 찬성 39%, 반대 42.2% ▲흑인 찬성 34.4%, 반대 35.8% 등으로 나타났다.


정당별로는 공화당 등록 유권자는 69%가 출생시민권 폐지에 찬성 입장인 반면, 민주당 등록 유권자는 25%에 그쳤다. 정당에 등록하지 않은 유권자는 38%가 출생시민권 폐지를 긍정적으로 여겼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취임 첫날 출생시민권 폐지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해 파문을 일으켰다. 즉각 위헌 소송이 제기됐고 결국 지난 23일 시애틀에 있는 연방법원 워싱턴 서부지법은 해당 행정명령 시행을 최소 14일간 중단시키는 임시 금지명령을 내렸다.

법원은 2월5일 심리를 열어 계속해서 시행 금지를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에 맞서 트럼프 행정부는 시행금지 명령에 대해 항소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출생시민권를 둘러싼 법적 다툼이 계속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에머슨 칼리지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업무 수행에 대한 긍정 비율은 49%로 반대 41%보다 높게 나왔다. 하지만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이 학교와 종교기관에 들어가 불법 체류자 수색 및 체포를 허용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46.6%)이 찬성(41.7%)보다 높았다. 또 응답자의 절반 이상(56.4%)은 불법체류자에게 시민권 부여의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Looking For Korean Body Scrub Employees
Part Time Jobs
340
가주 공휴일 4일 추가, 공무원 ‘유급’ 혜택
U.S. Life & Tips
5332
\"아마존 1만8000명 해고 전망\"…빅테크 기업에 한파 닥쳤다
Job & Work Life
5271
2005년생 복수국적자 국적이탈 3월말 마감
U.S. Life & Tips
4941
이민 수수료 또 대폭 오른다 1
U.S. Life & Tips
8044
전국 집값 올랐지만 상승폭은 크게 둔화
Talk & Talk
3702
Fed, 긴축 재확인…“올해 금리 안내려”
Talk & Talk
7154
‘폭탄 사이클린’ 남가주 강타…비상사태 선포
U.S. Life & Tips
4709
“올해 美 경기후퇴, 부유층 타격 더 큰 이례적 ‘리치세션’ 전망”
Job & Work Life
6001
마이크로소프트 직원들 첫 노조 결성
Job & Work Life
3707
RSV(호흡기 질환)·코로나·독감 어린이 환자 ‘포화상태’
Live Updates (COVID-19, etc.)
5121
구형 아이폰-아이패드, 배터리 일찍 바꿔야? 애플, 3월 교체비 인상
U.S. Life & Tips
3670
美 온라인광고 구글·메타 2강체제 흔들린다…점유율 50% 무너져
Talk & Talk
3892
업무·비즈니스 목적 차량 마일리지 세금공제 상향
Tax & Salary
5415
\"사무실 복귀\" \"재택근무 고수\" 갈등 고조
Job & Work Life
5341
美 실업자 1명당 빈 일자리 1.7개…여전히 뜨거운 노동시장
Job & Work Life
6125
자녀 세금 공제 종료…저소득층 가정 타격
Talk & Talk
4987
[2023년 바뀌는 노동법] 주 공휴일 4일 추가·채용 공고시 급여 공개
Job & Work Life
3670
\"암호화폐·스팩·밈 주식 사지 말라\"
Talk & Talk
6277
벤모 등 소액 결제 세금보고 1년 연기
Tax & Salary
5299
\"백신마저 소용없다\"…美 순식간에 감염 시킨 \'최악 변이\'
Live Updates (COVID-19, etc.)
6711
\"올 하반기 경기침체 진입, 내년 초 본격화\"
Talk & Talk
6822
대학들, 학비 정보 제대로 제공안해
College Life
3832
새해 ‘롱위크엔드’ 공휴일 12번 쉰다
U.S. Life & Tips
5418
수수료 10배…전자여행허가서 사기
U.S. Life & Tips
5151
“눈 속에서 차내 갇히면 어떻게?”
U.S. Life & Tips
4108
동포재단 ‘한글교사 학사취득’ 지원
U.S. Life & Tips
3657
빅테크·코인주·코로나수혜주…올해 투자자에 고통 준 美주식들
Talk & Talk
192
손실 주식 처분하면 3000불까지 공제
U.S. Life & Tips
482
인플레이션 최대 피해자는 중산층
Talk & Talk
316
공짜 반품 없다…3~10불 수수료 부과
U.S. Life & Tips
163
한국산 전기차도 ‘리스 차량’은 美인플레법 보조금 받는다
Talk & Talk
3201
금리인상 직격탄…빅테크 반토막에 ‘곡소리’
Talk & Talk
1786
펠그랜트 500불 인상…최고 수혜액 7395불로 상향
College Life
2917
\"표절의 신세계 열렸다\"…학생 \'커닝도우미\'로 뜬 챗GPT 논란
Talk & Talk
3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