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전 창고 채워라”…기업들 대응 부심
By buuxxxx Posted: 2025-02-04 14:57:14

▶ 선제적 재고 긴급 비축
▶ 생산시설 미국 이전 검토

▶ 보관창고 추가 비용 발생
▶ 소비자에 가격 인상 전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 부과는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들에게도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미국 소비자들은 더 높은 제품 가격을 부담해야 한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한 관세 전쟁을 본격화하면서 현지 기업들은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

2일 AP 통신에 따르면 예일대 예산 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 1가구당 연평균 1,000~1,200달러의 구매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추산했다.

회계법인 EY의 그레고리 다코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12월 기준 2.9%보다 0.4%포인트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관세 때문에 소비지출과 기업투자가 줄면서 작년에 2.8% 증가한 미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서 올해 1.5%, 2026년에 2.6% 각각 줄어들 것으로 관측했다.

이 같은 암울한 예측 속에서 미국 기업들은 변화한 시장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하고 있다.

일단 건설 부문 등의 일부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비축한 재고를 소진하면서 ‘버티기’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레인쉬는 많은 기업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리 상품을 수입해뒀다며 이들은 몇 주~몇 개월간 이 재고를 내다 팔며 소비자의 고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히스패닉계 건설협회 대표인 조지 캐릴로도 AP와의 인터뷰에서 건설 회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조처를 예상하며 자재를 비축해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향후 3~6개월 사이에 인플레이션이 가속할 가능성이 있다며 “재고가 바닥나기 시작하면 (관세에 따른) 효과를 느끼기 시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나 물품을 미리 들여놓아도 이를 보관할 창고를 마련해야 하므로 추가 비용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매업 전문가들은 “창고 비용은 제품 가격에 포함되고, 결국 소비자가 비용을 지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규모가 큰 기업들은 제품을 미리 들여올 수 있지만, 모든 기업이 그런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미리 수입 물량을 끌어와 대비한 기업들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오래 두면 썩는 농산물 등을 유통하는 슈퍼마켓들은 당장 관세 ‘영향권’에 들었다.


애리조나주의 농산물 판매상 로드 스브라지아는 수입 농산물에 부과되는 관세는 일부 유통 회사들을 폐업 수순으로 내몰 것이라며 이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월마트·타겟 등 대형 유통업체들을 대변하는 미국소매협회(NRF)도 “이런 보편관세가 존재하는 한 미국인은 일상 소비재에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도록 강요받을 것”이라며 백악관이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다른 수단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새로 부과되는 관세로 인해 생산 공정이 지연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부품의 수입 비용 증가와 추가적인 절차 등으로 인해 공급이 지연되면 완제품 조립도 늦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자동차장비제조협회(MEMA) 회장 콜린 쇼는 부품 중 단 하나라도 공급에 차질을 빚는다는 것은 변속기 등 주요 구성품뿐 아니라 나머지 차량 전체를 만들 수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관세 폭탄에 대한 대응으로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옮기는 자구책을 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생산하면 인하된 법인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며 기업들의 미국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자재의 선적 경로를 바꿔 관세 부담을 완화하려는 시도도 있을 수 있다. 로이터 통신은 자동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나 도요타 등은 공장을 외국에서 미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고, 알루미늄 업체 알코아는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적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단 점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한미 항공여행객 작년 사상 최다… 펜데믹 이전 회복
Travel & Food
2321
봄방학 앞두고 멕시코 여행 주의보
Travel & Food
2530
고물가에 보육비 상승, 부모들 이중고
Talk & Talk
1547
[세금보고 점검 사항] 서류 잘 챙기고 실수 없어야…철자·숫자 주의
Tax & Salary
2513
[올해 바뀐 세법] 표준 공제, 독신 900불·부부 1800불 인상
Tax & Salary
2669
비트코인 28개월만에 사상 최고가…6만9천300달러 찍고 급락
Talk & Talk
1545
[무료 세금보고] IRS, 연소득 7만9000불 이하면 무료 서비스
Tax & Salary
8123
인스타 돌연 오류…페북까지 갑자기 로그아웃 접속장애
Talk & Talk
2683
LA 51불, 호텔 주차비 급등…차 없어도 부과
Travel & Food
2618
한인들의 한표, 최초 만든다
Talk & Talk
2931
가주 전기차 판매 의무화 ‘비현실적’
Talk & Talk
1011
국가채무 ‘눈덩이’… 100일에 1조달러씩 증가
Talk & Talk
580
“업주들 울리는 PAGA(노동법 집단 공익소송) 없애자”… 주민발의안 주목
Job & Work Life
941
코로나 확진자 격리지침 공식 완화
Live Updates (COVID-19, etc.)
1315
이번엔 카마로…키 복제 차량절도 급증
Talk & Talk
1992
값싼 이주민 노동자에 중독된 선진국…\"장기적으론 독일 수도\"
Job & Work Life
1663
작년 추방된 한인 불체자 54명…이민법 체포건 두배 급증
Talk & Talk
1261
IRS, 고소득 미신고자 집중 단속
Tax & Salary
1891
이번 주말 서머타임 시작
Talk & Talk
1381
수퍼화요일 D-1…대선 후보 내일 결정
Talk & Talk
1538
무보험 주택, 모기지업체가 강제보험 가입
Talk & Talk
2627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지점 통폐합
Talk & Talk
1872
美대법원, 트럼프 출마 자격 유지…대선 장애물 제거
Talk & Talk
1367
계속실업수당 청구 191만건 3개월래 최고·노동시장 둔화
Job & Work Life
888
갈수록 치솟는 차 보험료… 대란 넘어 ‘보험 지옥’
Talk & Talk
896
대한민국 임시정부 특별전 개막
Travel & Food
369
“전 세계 성인 43%가 과체중”
Talk & Talk
1390
\"미세플라스틱 최대 90% 제거된다\"… \'끓인 물\' 놀라운 효능
Travel & Food
2247
서울 면적 7배가 잿더미로…美텍사스 산불피해 역대 최대 규모
Talk & Talk
1787
테슬라, \'공장 인종차별 방치\'로 6천명 집단소송 직면
Job & Work Life
1925
버라이즌 5G 월 4불 인상…T모빌 인터넷 월 60불로
Talk & Talk
1525
요세미티 폭설로 오늘부터 폐쇄
Travel & Food
1430
LA카운티 전기료 최대 17% 인상…전력시설 정비 예산 확보 차원
Talk & Talk
1106
[오늘 105주년 삼일절] 꽃길에서 만난 자유 뺏긴 두 민족
Talk & Talk
2164
\"인류 위한다더니 돈벌이만\"…머스크, \'챗GPT\' 알트먼에 소송
Talk & Talk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