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제적 재고 긴급 비축
▶ 생산시설 미국 이전 검토
▶ 보관창고 추가 비용 발생
▶ 소비자에 가격 인상 전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 부과는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들에게도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미국 소비자들은 더 높은 제품 가격을 부담해야 한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한 관세 전쟁을 본격화하면서 현지 기업들은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
2일 AP 통신에 따르면 예일대 예산 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 1가구당 연평균 1,000~1,200달러의 구매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추산했다.
회계법인 EY의 그레고리 다코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12월 기준 2.9%보다 0.4%포인트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관세 때문에 소비지출과 기업투자가 줄면서 작년에 2.8% 증가한 미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서 올해 1.5%, 2026년에 2.6% 각각 줄어들 것으로 관측했다.
이 같은 암울한 예측 속에서 미국 기업들은 변화한 시장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하고 있다.
일단 건설 부문 등의 일부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비축한 재고를 소진하면서 ‘버티기’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레인쉬는 많은 기업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리 상품을 수입해뒀다며 이들은 몇 주~몇 개월간 이 재고를 내다 팔며 소비자의 고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히스패닉계 건설협회 대표인 조지 캐릴로도 AP와의 인터뷰에서 건설 회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조처를 예상하며 자재를 비축해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향후 3~6개월 사이에 인플레이션이 가속할 가능성이 있다며 “재고가 바닥나기 시작하면 (관세에 따른) 효과를 느끼기 시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나 물품을 미리 들여놓아도 이를 보관할 창고를 마련해야 하므로 추가 비용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매업 전문가들은 “창고 비용은 제품 가격에 포함되고, 결국 소비자가 비용을 지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규모가 큰 기업들은 제품을 미리 들여올 수 있지만, 모든 기업이 그런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미리 수입 물량을 끌어와 대비한 기업들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오래 두면 썩는 농산물 등을 유통하는 슈퍼마켓들은 당장 관세 ‘영향권’에 들었다.
애리조나주의 농산물 판매상 로드 스브라지아는 수입 농산물에 부과되는 관세는 일부 유통 회사들을 폐업 수순으로 내몰 것이라며 이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월마트·타겟 등 대형 유통업체들을 대변하는 미국소매협회(NRF)도 “이런 보편관세가 존재하는 한 미국인은 일상 소비재에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도록 강요받을 것”이라며 백악관이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다른 수단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새로 부과되는 관세로 인해 생산 공정이 지연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부품의 수입 비용 증가와 추가적인 절차 등으로 인해 공급이 지연되면 완제품 조립도 늦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자동차장비제조협회(MEMA) 회장 콜린 쇼는 부품 중 단 하나라도 공급에 차질을 빚는다는 것은 변속기 등 주요 구성품뿐 아니라 나머지 차량 전체를 만들 수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관세 폭탄에 대한 대응으로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옮기는 자구책을 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생산하면 인하된 법인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며 기업들의 미국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자재의 선적 경로를 바꿔 관세 부담을 완화하려는 시도도 있을 수 있다. 로이터 통신은 자동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나 도요타 등은 공장을 외국에서 미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고, 알루미늄 업체 알코아는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적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단 점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트럼프 관세로 북미 車 생산량 최대 20% 감소 전망
![]() Current Economy
|
27 |
전 세계로 퍼지는 ‘미국 여행 보이콧’…美 일자리 타격 전망
![]() Travel & Food
|
33 |
트럼프발 ‘차 관세 폭격’… 중고차 시장 뜬다
Current Economy
|
41 |
대형산불 겪은 LA, ‘야자수 퇴출론’ 대두…”화재에 취약”
Talk & Talk
|
31 |
가족이민 초청 소득기준 오른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
54 |
美테크기업, 전문직 비자 직원들에 “못들어올라…美 떠나지마라”
Job & Work Life
|
39 |
18세 피아니스트 김세현, 佛 롱 티보 콩쿠르 우승
Talk & Talk
|
57 |
美 트럼프 관세 부메랑… \'나홀로 호황\' 저무나
Current Economy
|
46 |
아시아나 품은 대한항공, 금호 ‘윙 로고’ 제거 완료
Travel & Food
|
38 |
중국, 전기차처럼 휴머노이드도 미국 앞설 것
Talk & Talk
|
48 |
신규 주간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
98 |
기업 노동비용 지속적 상승… 전년비 2.0%↑
Current Economy
|
100 |
하와이안항공, 시애틀-인천 취항
Travel & Food
|
59 |
로봇이 조립하고 AI가 검사…첨단기술 ‘꿈의 공장’
Current Economy
|
152 |
2월물가 예상 상회·소비는 못미쳐…소비악화·경기둔화 우려
Current Economy
|
70 |
국제금값, 관세發 인플레·경기 우려에 최고치 또 경신
Current Economy
|
52 |
트럼프, 유학생 비자 300여명 취소
College Life
|
172 |
머스크, 이번엔 州대법관 선거지원… “유권자 2명에 100만달러씩”
Talk & Talk
|
87 |
WSJ “트럼프, 美 자동차업체 CEO들에게 가격인상 경고”
Talk & Talk
|
55 |
법원, 구제기회 없는 이민자 신속추방 잠정중단 명령
Talk & Talk
|
82 |
캐나다 총리 \"미국과 관계는 이제 끝났다... 과거로 못 돌아가\"
Talk & Talk
|
47 |
트럼프에 잘린 연방 공무원들…중국이 나서서 ‘포섭 작전’?
Job & Work Life
|
106 |
너도 나도 “법대 가볼까”… 로스쿨 인기 상승
Job & Work Life
|
64 |
‘아메리칸 드림’ LA서 연 16만불은 벌어야
Talk & Talk
|
109 |
유권자 등록·투표에 시민권 제시 의무화
Talk & Talk
|
49 |
기업들, 올 하반기 이후 침체 예상
Current Economy
|
78 |
고용 소폭 증가에도 실업률 4.1%로 상승
Job & Work Life
|
107 |
현대차그룹, 조지아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
Current Economy
|
43 |
중국산 저가 ‘밀어내기’ 공습에… 세계 경제 ‘신음’
Current Economy
|
42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4천건…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
30 |
외국산 자동차 구입 시 5,000달러 추가 부담
Talk & Talk
|
39 |
우버, 리프트가 임금 착취
Job & Work Life
|
41 |
LA카운티 \'사형\' 부활된다
Talk & Talk
|
35 |
4월2일부터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Current Economy
|
67 |
관세전쟁에 화물운임 추락… 항공·해운 ‘초비상’
Current Economy
|
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