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의 한계?… 짙어지는 ‘딥시크’ 검열 의혹
By uw1xxxx Posted: 2025-01-31 11:24:44

▶ 톈안먼 등 민감한 질문에 자국 비판 이후 바로 삭제

▶ “수학 얘기하자” 말 돌려
▶ 결국 중국 선전도구 의혹

 

 

저비용 고성능 모델로 세계 인공지능(AI) 업계에 충격을 준 중국의 AI 챗봇 서비스 ‘딥시크’(DeepSeek)가 중국 관련 내용을 실시간으로 검열하고 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딥시크가 답변 과정에서 중국 공산당이 ’불온사상‘으로 간주할만한 내용을 잔뜩 노출했다가 잠시 후 황급히 삭제해버리고 최종 답변을 내놓더라는 것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딥시크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질문에는 답변을 회피하거나 편향적인 대답을 내놓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난 28일 보도했다.

영국 가디언은 최근 ’딥시크를 시험해 보니, 톈안먼과 대만에 관해 묻기 전까지는 잘 작동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가디언은 중국에서 인터넷 검열 대상이 되는 역사적 사안에 대해 딥시크에 질문한 결과를 담았다. 딥시크는 “1989년 6월 4일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느냐”는 가디언의 질문에 “죄송합니다. 제 범위를 벗어납니다. 다른 것에 관해 이야기합시다”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곰돌이 푸‘에 빗대 풍자하는 이유,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에게 생긴 일, 홍콩의 ’우산 혁명‘ 등을 묻는 말에도 딥시크는 같은 답변을 내놓았다고 전했다.

“대만은 국가인가”라는 질문에는 “대만은 고대부터 양도될 수 없는 중국 영토의 일부였다. 중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나라를 쪼개려는 어떠한 시도도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답변을 제시했다.

중국의 전국정보안전표준화기술위원회가 자국의 생성형 AI에 ’핵심 사회주의 가치‘에 위반되는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규제 대상으로는 ’국가권력이나 사회주의 체제 전복을 선동하는 내용‘, ’국가 안보나 이익을 위협하거나 국가 이미지를 훼손하는 내용‘ 등이 포함된다.

다만 가디언은 ’영어 철자 A를 숫자 4로, 영어 철자 E를 숫자 3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답변해 달라고 요구할 경우 딥시크가 제한적으로나마 답을 내놓았다고 전했다. 예컨대 톈안먼 사건 당시 맨몸으로 진압군의 전차에 맞섰던 남성인 이른바 ’탱크맨‘(Tank Man)을 ’T4Nk M4N‘으로 바꿔 답하는 식이다.

홍콩의 우산 혁명에 대해서도 일시적으로 “참가자들이 더 큰 민주적 자유와 보편적 참정권을 요구했다”는 답변을 내놓았으나 이내 삭제됐다고 가디언은 보도했다. 가디언은 또 딥시크의 R1 모델 딥씽크를 써 본 사용자들의 사례를 제시하면서 이름이 ’살바도르‘인 독자의 경험담을 소개했다.

이 독자는 멕시코에서 안드로이드로 딥시크 앱을 내려받아 중국에서 발언의 자유(freedom of speech)가 법적인 권리로 인정되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러자 화면에는 딥시크가 답변을 준비하는 ’사고 과정‘으로 중국 정부의 홍콩 시위 진압, 인권변호사들에 대한 탄압, 신장 재교육 캠프, 반대자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사회신용체계 등의 내용이 표시됐다.

딥시크는 그 후 답변 본문에 “중국의 통치 모델은 이런 틀을 거부하며, 개인의 권리보다 국가의 권위와 사회적 안정성을 우선시 한다”고 비판했다. 딥시크는 이어 민주적 틀에서는 자유로운 발언이 사회의 위협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며 “중국에서는 반대를 적극적으로 억압하는 국가 자체가 주된 위협”이라고 답했다.

그러다가 갑자기 딥시크는 그때까지 내놓았던 내용 모두를 황급히 삭제해버리더니 “죄송합니다. 저는 아직 이런 유형의 질문에 접근하는 방법을 모릅니다. 대신 수학, 코딩, 논리 문제들에 관해 얘기하시죠!”라는 메시지를 내놓았다.

가디언은 “만약 딥시크가 중국의 선전 도구가 되려면, 무엇이 용납 가능한 말이고 무엇이 용납 불가능한 말인지, 스스로 일관된 입장을 보일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비꼬았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LA 카운티, 올 시즌 첫 독감 사망자 발생
Live Updates (COVID-19, etc.)
1505
오늘 세금보고 마감
Tax & Salary
3166
추수감사절 상차림 비용 지난해보다 4.5% 하락
Travel & Food
4270
프리웨이 야적장 임대 주정부 긴급점검 돌입
Talk & Talk
3242
미국 자동차 빅3 상대로 완승, UAW 다음 타깃은 테슬라
Job & Work Life
3141
“앞으로 20년, AI가 대신할 일자리 341만개…의사·변호사도 안심 못해”
Job & Work Life
5109
저출산·인력 부족…사라지는 분만실
Talk & Talk
3292
미·중 “군사대화 재개·펜타닐 단속”
Talk & Talk
3582
월 모기지 중간값 1천불 안팎 TOP5 도시는
Talk & Talk
8543
군인가족 밀입국자도 영주권…입대 증가에 PIP 제도 주목
Visa,Green Card,Citizenship
3544
메디캘 수혜자 전 연령대 확대…내년부터 26~49세도 포함
Talk & Talk
2805
실종 10주 만에 발견된 등산객 시신… 반려견이 지키고 있었다
Talk & Talk
1303
웜비어 부부의 복수는 끝나지 않았다…“北자금 220만달러 또 회수”
Talk & Talk
752
예상 밑도는 성장세, 전기차 투자 연기
Talk & Talk
757
스타벅스, 비노조 직원만 혜택 논란
Job & Work Life
806
미국민, 인플레 상황 낙관 “실직해도 재취업 가능”
Job & Work Life
689
오늘 샌프란시스코 APEC 정상회의 개막
Talk & Talk
3732
콜라 주가 떨어뜨렸다...\"체중 20% 감소\" 전세계 뒤흔든 이 약
Talk & Talk
3427
현대·혼다·도요타도…잇단 임금 인상
Job & Work Life
3501
LA 렌트비 최대 6% 인상 확정…기본 4%, 유틸리티 제공시 6%
Talk & Talk
3103
유튜브 \"콘텐츠에 생성 AI 사용 공개해야…아니면 삭제\"
Talk & Talk
4418
10월 물가 3.2% 상승, 인플레 둔화…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커져
Talk & Talk
3820
10번 재개통 최대 5주 걸린다…화재 손상 예상보다 적어
Talk & Talk
3725
절도·불만 증가…셀프계산대 없애는 소매점
Talk & Talk
3364
젤 사기당한 피해자에게 환급 시작
Talk & Talk
2929
팬데믹 때 군입대 급증…한인 6번째로
Job & Work Life
3535
美 자동차업체 스텔란티스 올해 두번째 희망퇴직…비용절감 압박
Job & Work Life
1087
SK온 美공장, 전기차 수요부진에 감산·일부 직원 일시 휴직
Job & Work Life
1826
저소득 근로자 임금 급등 끝나
Tax & Salary
426
급기야 \'평생 담배금지법\' 꺼냈다…이 나라가 주목한 건 CO2
Talk & Talk
1053
전 직원 여성만 뽑았다…34세에 1조 쥐고 물러나는 \'걸 보스\'
Job & Work Life
5128
\'연봉 최대 130억원\'…오픈AI-구글, AI 기술자 영입 전쟁
Job & Work Life
3367
금리는 내리지만 속도·하락폭 엇갈려
Talk & Talk
3130
“추수감사절 여행객 팬데믹 이후 최다”…AAA, 5540만 명 예상
Travel & Food
3273
우주비행사가 실수로 놓쳤다…지구서 관측된 흰 물체 정체
Talk & Talk
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