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동결 배경·전망] “추가 금리인하 서두를 필요없어… 경제 강해”
By ubkxxxx Posted: 2025-01-30 11:29:40

▶ “트럼프의 향후 정책과 경제 면밀히 주시할 것”

▶ 인플레 반등 위험 반영
▶ 올해 2차례에 그칠 수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종료된 후 기자회견을 통해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

 

 

29일 연방준비제도(FRB·연준)가 새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무리하며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등 올해부터 금리 인하 속도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신호를 명확하게 보냈다. 최근 인플레 둔화세가 연준의 목표 수준에 근접하고 고용 시장과 소비 등 경제도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는 상황에서 연준이 인플레 반등 위험을 감수하고 무리하게 금리인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느냐는 일각의 우려를 반영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날 FOMC 회의를 앞두고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데 거의 이견이 없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강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특히 고율 관세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정책의 영향에 대해선 정책이 구체화하기 전까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기 어렵다며 판단을 유보한 것이다. 이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시작된 만큼 오는 3월 18일과 19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는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더욱 투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압박에도 4.25~4.5% 유지

파월 의장은 이날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한 후 연 기자회견에서 “현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는 기존보다 현저히 덜 제한적인 반면 경제는 강한 상황”이라며 “우리는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3월 금리 인하를 여전히 고려 중이냐는 질문에도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되풀이해 강조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0.50%포인트 금리인하)을 시작으로 금리인하 사이클을 개시한 뒤 지난해 12월까지 세 차례 연속 인하를 통해 기준금리를 종전보다 총 1%포인트 낮춘 바 있다.

파월 의장은 “현 통화정책 기조가 매우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의미 있게 제한적인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이 필요하다”라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중립금리 수준에 대해선 정확한 추산이 어렵다고 전제하면서도 현 금리 수준이 중립금리를 의미 있게 상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을 가속하지 않으면서도 고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 금리 수준으로, 연준 안팎에선 팬데믹 이후 중립금리 수준이 상승했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현 금리가 중립금리를 의미 있게 웃돈다는 것은 추가 인하 여지가 남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관련해선 “어떤 정책들이 실제로 실행될지 지켜보는 단계”라며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정책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평가했다.

앞서 연준은 12월에는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제시, 금리 인하 횟수를 2차례로 조정한 바 있다.

■기업·가계 부담 여전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소비자들은 크레딧카드와 모기지, 자동차 대출 등에서 여전히 높은 이자 부담을 감당해야 한다.

5년 만기 국채 금리 변동의 영향을 받는 자동차 대출 금리는 개인의 신용도, 구매 차종과 가격, 다운페이먼트와 대출 기간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정된다.

모기지 금리는 연준의 기준금리 보다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현재 7% 밑으로 내려간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는 소폭 인하가 가능하지만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차 모기지인 홈 에쿼티 론과 홈 에쿼티 라인 오브 크레딧 대출은 기준 금리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기존 연방 학자금 대출자의 금리는 고정 금리여서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신규 대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율을 적용받는다. 학부생의 경우 대출금에 대한 금리는 4~5%대로 3년 전만해도 평균 3% 미만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준이다.

이전 고금리 상황에서 저축자들은 CD와 적금 등에서 높은 예금 이자 혜택을 누려왔다. 하지만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향후 기준 금리 인하 기조가 확실한 만큼 금융 기관이 제공하는 이자도 떨어지기 시작했다. CD나 저축 상품의 경우 이자율이 더 떨어지기 전에 현 이자율로 락인을 하는 것이 권고된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엔비디아 대항마 AMD 직원 4% 감축…1천명 수준 예상
Job & Work Life
2209
원·달러 환율 1,400원 뚫었다… 뉴노멀된 ‘킹달러’
Current Economy
1924
아마존, 초저가 상품 판매 웹스토어 오픈…테무·쉬인에 ‘맞짱’
Talk & Talk
1925
‘연일 신기록’ 비트코인, 9만3천달러선 돌파 후 반락
Talk & Talk
2166
헤그세스·왈츠·밴스… 중동서 싸운 젊은 참전용사들이 美 이끈다
Talk & Talk
2164
‘트럼프 효과’ 날개 단 가상화폐…‘역대급 상승세’
Current Economy
2420
\"연봉 4억!\" 파운드리 인재 구하는 삼성
Job & Work Life
2405
빅테크들 \"AI 특성에 브랜드 가치를 담아라\"… 아이콘 개발 박차
Talk & Talk
2121
머스크와 \'악연\'… 올트먼, 美 대선 \'최대 패배자\' 될까
Talk & Talk
2222
비트코인, 고공행진 지속…8만4천 달러선 첫 돌파
Current Economy
2129
미 우선주의 한국차 ‘겹악재’… 관세 인상땐 수출차질
Current Economy
2265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전망치 소폭 상회
Job & Work Life
2255
LA 새 랜드마크 \'LACMA\' 준공 눈앞
Travel & Food
2300
IRS, 내년 표준공제·과세소득 기준 발표
Tax & Salary
2878
[기준금리 인하 배경·전망] 연준 지속적 인하 기조 확인… 인플레 완화 반영
Current Economy
2335
“과거 같은 제로금리 시대 이제 종말”
Current Economy
2149
전국 주의회서도 한인 정치인들 대거 당선 ‘약진’
Talk & Talk
2186
트럼프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불가피”
Talk & Talk
1971
대선 후 첫 결정, 美 연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Current Economy
2377
[트럼프 재집권] “당장 추방”…반이민 물결 지구촌 뒤덮나
Talk & Talk
1629
“연준, 11·12월 0.25%p 금리 인하”
Current Economy
1662
‘트럼프노믹스 시즌2’… 우선주의·보호무역 강화
Current Economy
1710
축구장 7800개 면적 태운 불지옥... 美캘리포니아 휩쓴 대형 산불
Talk & Talk
1918
삼성전자·하이닉스, 9조5000억원 규모 반도체 보조금 못 받나
Current Economy
1305
‘떼강도 타겟’ 세븐일레븐… 매장 대거 폐쇄
Talk & Talk
1715
‘구글 플라이트’ 기능 강화
Travel & Food
2102
농심, 대한항공 전용 ‘신라면 AIR’ 출시
Travel & Food
1638
내년 차 보험 커버리지 한도 ‘껑충’
Talk & Talk
1933
트럼프 대선 압승… 첫 한인 상원의원 탄생 \'쾌거\'
Talk & Talk
1960
4년 만에 다시 트럼프 시대... 美 우선주의 더 강해진다
Talk & Talk
2011
막말·성추문, 두 번의 탄핵소추, 대선 불복에도… 다시 백악관으로
Talk & Talk
2300
방탄조끼·드론·저격수까지… 백악관·의사당 주변도 펜스
Talk & Talk
1750
미친 주택값에 시장서 밀려난 젊은층
Talk & Talk
1760
보잉, 이달부터 전체 직원 10% 감원
Job & Work Life
2602
“무보험 한인들…‘커버드 CA’ 꼭 가입하세요”
U.S. Life & Tips
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