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냐 인건비냐… 멕시코 진출 기업들 딜레마
By 1nfxxxx Posted: 2025-01-28 11:05:37

▶ 미국, 1일부터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
▶ LG전자 등 생산지 이전 이해득실 검토

▶ 미국 제조업 시간당 임금, 멕시코의 8배
▶ 공장 자동화율 등 변수 많아 셈법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부터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결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국내 전자·가전업체가 대응 전략을 짜느라 바빠졌다. 미국 내 가전 생산 시설을 지은 삼성전자, LG전자가 추가 생산 라인을 이곳으로 옮기는 걸 검토할 거란 전망이 나오지만 당장 추진하기에 변수가 만만치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26일 업계 관계자는“생산지 이전에 따른 이해득실을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미국 내 가전 생산거점을 마련한 건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자국 가전업체 월풀의 청원을 받아들여 세탁기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를 시행하면서다.

당시 부과한 관세가 30%였고 두 회사는 미국 공장 건설을 앞당겨 위기를 넘겼다. 이후 바이든 정부가 들어서면서 우리 기업들은 USMCA 협정에 따른 무관세 혜택을 활용하기 위해 멕시코 진출에 공을 들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관세 폭탄’을 예고하면서 상황이 7년 전과 비슷해졌지만 기업들은 생산지를 바로 옮기기에는 이전보다 상황이 복잡하다고 입을 모은다.


먼저 인건비 차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에 따르면 미국 제조업 임금 평균은 시간당 28.34달러(2024년 12월 기준)로 멕시코(10월 기준 3.7달러)의 8배에 달한다. 임금 격차는 트럼프 1기 때보다(2017년 12월 미국 21.2달러, 멕시코 3.1달러) 더 커졌다.

이런 이유로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간담회에서 “관세를 설사 좀 내더라도 멕시코가 (생산비 등이) 더 싸다”며 “멕시코 생산 시설에서 계속 경쟁력을 만드는 게 지금 해야 할 일”이라고 생산지 변경에 선을 그었다. 업계 관계자는 “특히 미국 고객사가 국가별 발주량을 나누는 ‘멀티 벤더 전략’을 취한다면 굳이 한국 기업이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우리 기업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멕시코산의 상당수는 같은 기업의 해외 법인에 파는 ‘기업 내 수출’이다. 이 경우 멕시코 생산 시설을 유지하되 이곳의 이윤을 극단적으로 줄여 미국에 수출하는 방법도 있다. 한 통상 전문가는 “이제까지는 관세를 매기지 않아 멕시코산에 일정 부분 이윤을 붙여 미국으로 넘겼지만 앞으로 원가대로 미국에 수출한다면 절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장의 자동화율이 높다면 말이 달라진다. 그만큼 인건비를 덜 써도 되기 때문인데 시설 투자비와 감가 상각 기간에 따라 이해 득실이 달라진다. 특히 미국 내 투자를 미리 해놨다면 생산지 이전 가능성은 높아진다.

손창우 LG전자 테네시공장 법인장은 지난해 6월 “현재 부지에 공장을 3개 더 지을 공간이 충분하다”며 “통상 이슈가 생겨 추가 생산지를 (마련)해야 한다면 (현재 생산하는 세탁기, 건조기뿐 아니라) 냉장고, TV 등 다른 제품을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LG전자 테네시 공장의 공정 자동화율은 LG의 해외 세탁기 공장 중 가장 높은 68%로 올해 70%를 넘긴다는 목표를 세웠다.

미국 주변의 다른 생산지 이전을 검토하는 방안도 있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관세 부과 기간이 길어질 경우 미국 내 자동화 설비를 갖춘 기업은 미국에서의 생산을 늘릴 것”이라며 “그렇지 않은 기업은 멕시코 공장을 중남미 등 다른 국가 수출 기지로 전환하는 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미국 생산지 이전을 검토할 때 기업들의 고민은 또 있다. 국내 한 대기업 고위 임원은 “미국 수출의 상당수는 미국 현지 생산 시설에 중간재를 조달하는 ‘기업 내 거래’라 트럼프 요구대로 투자를 늘리면 그만큼 수출도 늘 수밖에 없다”라며 “무역 흑자를 이유로 미국으로부터 더 큰 통상 압력을 받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으니 우리 정부가 이 점을 강하게 어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AI, 일자리 40%에 영향 계층간 불평등 심화시켜
Job & Work Life
2721
패스트푸드가 ‘아동노동법 위반’ 온상지로
Job & Work Life
1428
CJ의 K푸드 성공…하버드대 경역학 교재 됐다
Talk & Talk
1896
재보험사들 ‘계약 취소 조항’ 추가
Talk & Talk
1501
경제학자들, “올해 경기침체 가능성 작아”
Talk & Talk
3038
직장 떠나면 ‘고생’… 일자리 감소에 “붙어 있자”
Job & Work Life
2891
MS, \'월 20달러\' 개인용 AI 서비스 \'코파일럿 프로\' 출시
Talk & Talk
2587
골드만삭스가 미국 경제를 낙관하는 \'10가지 이유\'
Talk & Talk
2039
미 한파에 최소 9명 사망…\'겪어보지 못한 추위\'에 남부도 비상
Talk & Talk
3038
홈리스 텐트촌 철거 새국면…연방대법원 합법여부 심의
Talk & Talk
2402
다시 마스크 쓰는 미국 병원들…코로나19 등 호흡기 질환 비상
Live Updates (COVID-19, etc.)
2426
아이오와, 대세를 택했다…트럼프 첫 경선 압도적 1위
Talk & Talk
1407
대세 소셜마케팅…자칫하면 역풍
Talk & Talk
1313
수술 한 번에 4000불…반려동물 진료비 급상승
Talk & Talk
1847
미주 한인 온라인 북클럽 커뮤니티 [북챗] 같이 책읽어요 🙂
U.S. Life & Tips
2423
1만달러 이상 현금 받는 업소들, 신고의무 부과
Tax & Salary
3056
“이래도 재택할래?”… 승진 등 각종 불이익 전가
Job & Work Life
5296
미국 전역에 \'북극 한파\'…내륙 중서부 체감온도 최저 영하 56도
Talk & Talk
2373
가주 고물가 심각…생활비 45% 더 든다
Talk & Talk
2293
공화 대선후보경선 오늘 개막…아이오와 코커스서 첫 격돌
Talk & Talk
2150
“전기차 팔고 내연기관차로” 미국 1위 렌터카 허츠의 역주행
Talk & Talk
2596
LG전자의 무선 투명 OLED TV, CES 최고상 탔다
Talk & Talk
2454
상위 10% 부자가 주식 93% ‘독식’
Talk & Talk
2520
실업수당 청구 2주 연속↓ 연말연시 노동수요 증가
Job & Work Life
2598
연방정부, 독립계약자 여부 분류 기준 강화
Job & Work Life
3392
의료계 최저임금 인상 연기될 듯
Job & Work Life
2962
\"EU,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조건부 승인 예정\"
Travel & Food
3435
블랙록 경쟁사 뱅가드 \"비트코인 현물 ETF 취급 안해\"
Talk & Talk
888
패서디나, 치즈버거 100주년 이벤트…특별 메뉴·경품 이벤트 등 개최
Travel & Food
1082
美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 개시…첫날 거래액 6조원
Talk & Talk
1105
대도시 거주자 30% 부채 시달린다…작년 부채총액 17조2900억불
Talk & Talk
1087
소비자물가, 예상치 웃돈 3.4% 상승…주거비, 12월 상승 절반 차지
Talk & Talk
1897
LA, 전국 최초 \'증오사건\' 온라인 신고 접수
Talk & Talk
1361
오바마케어 가입자 역대 최다…2000만명…1년새 25% 폭증
Talk & Talk
1096
193국 무비자 입국, 한국 여권 파워 세계 2위...공동1위 6국은
Travel & Food
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