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밤의 숙청’… 연방정부 감찰관 무더기 해고
By pynxxxx Posted: 2025-01-27 11:13:01

▶ 트럼프, 15명에 이메일로

▶ ‘30일 전 통지’ 절차 어겨
▶ 2기 충성파 ‘코드인사’ 포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 첫 주를 ‘숙청’으로 마무리했다. 금요일 밤 연방정부 기관 소속 감찰관 최소 15명에게 일방적인 해고 통보 이메일을 무더기로 보낸 것이다. 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이뤄진 데다, 연방법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당뿐 아니라 공화당마저 우려를 표하고 나섰을 정도다.

워싱턴포스트(WP)·A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4일 밤 연방기관 소속 감찰관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우선순위가 바뀌어 (당신이) 즉시 해고됐다”고 알렸다. 해고 통지 이메일을 받은 감찰관 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AP통신은 17명이라고 추산했고, WP는 자체 확인 결과 최소 15명이라고 전했다.

WP는 “국방부와 국무부, 교통부, 노동부 등 상원 승인을 받은 부처의 감찰관은 물론, 환경보호청과 중소기업청, 사회보장청 단위에서도 감찰관 해고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대규모의 동시 해고 조치는 1978년 감찰관 제도가 생긴 뒤로 처음 있는 일이다. 해고 통지를 받았다는 한 감찰관은 WP에 “이건 대규모 학살”이라며 “앞으로 트럼프(대통령)가 누구를 대신 집어넣든 그는 충성파로 간주될 것이고, 이는 전체 시스템을 훼손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문제는 명백한 위법이었다는 점이다. 연방법에 따르면 상원 인준을 받은 감찰관을 해고하려면 ‘사례별 상세한 이유를 포함한 실질적 근거’를 들어 30일 전 미리 의회에 통지해야 하는데, 이번에는 별다른 설명도 없이 ‘이메일 한 통’으로만 즉각 이뤄졌다. “소름 돋는 숙청”(찰스 슈머 상원의원)이라고 표현한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 일부 의원마저 우려를 표하는 이유다. 감찰관의 독립성을 옹호해 온 척 그래슬리 상원의원(공화·아이오와)은 “타당한 이유가 있다면 대통령이 설명해야 한다”며 “그럼에도 30일 전 통지는 의회에 전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코드 인사’라고 하기엔 해고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해고자 중에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임명된 사람들이 대거 포함돼 있었다. 반대로 해고를 피한 마이클 호로비츠 법무부 감찰관의 경우엔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임명된 데다, 트럼프 행정부를 비판하는 보고서를 쓴 이력까지 있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튿날까지도 해고 사유는 물론, ‘위법성 지적’과 관련해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입맛대로’ 구성하기 위한 고위직 물갈이 마무리 수순이자, 향후 ‘견제 없는 운영’을 위한 전초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에도 감찰관 5명을 연달아 해고하고 정치적 충성파를 임명한 적이 있다. WP는 사설을 통해 “트럼프의 ‘금요일 밤 학살’은 법과 의회, 감시감독 체제에 대한 무시”라며 “정부를 효율적으로 만들고자 했다면 감찰관 대량 해고가 아니라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팁 제도… 기준도 없고 한마디로 엉망이다”
Talk & Talk
1253
내년 세금보고 준비 ‘스타트’… 올해 해야 내년 절세
Tax & Salary
4849
올바른 직장 이메일 사용법 모르면 ‘왕따’되기 쉬워
Job & Work Life
5471
취업·가족이민 또 전면 동결
Visa,Green Card,Citizenship
3330
美 기업들, 연말 쇼핑 시즌 앞두고 인플레 우려
Talk & Talk
4616
난데없이 수백달러 결제…전세계 \'부킹닷컴\' 고객 정보 털렸다
Travel & Food
6178
Z세대 2명 중 1명 “취직보다 창업”
Job & Work Life
3191
허리케인 힐러리 덕분?…화재 피해 면적 평년의 5분의 1
Talk & Talk
4074
한국서 김치 배송 재개…우정사업본부 3년 만에
Travel & Food
3638
미국 방문 해외여행객 씀씀이 커졌다
Travel & Food
3838
내년 과세 소득기준 상향…독신 22% 구간 2000불 이상↑
Tax & Salary
3572
볶음밥·주먹밥…한국 냉동밥 판매 급상승
Travel & Food
5048
대형 화재 10번 Fwy 폐쇄, 출퇴근 대란
Talk & Talk
3411
돌연 분홍색으로 변한 하와이 연못... “바닷물보다 염도 2배”
Talk & Talk
1909
“7%대 모기지 부담?… 그냥 올 캐시로 살게”
Talk & Talk
5288
병원들 임시직 간호사 의존도 심화
Job & Work Life
1758
신규 실업수당 청구 감소 ‘2주 이상’ 신청은 7주째↑
Job & Work Life
2111
모기지 평균금리, 7.61%로 하락
Talk & Talk
1772
하루 아침 계좌 폐쇄됐는데… 은행은 ‘나몰라라’
Talk & Talk
1973
비만 시장, 본격 경쟁 체제… 신제품 속속 등장
Talk & Talk
5167
“한국회화의 주류는 채색화… 전통에서 현대까지”
Talk & Talk
799
스마트폰 시대 끝나나…옷에 붙이는 \'AI 기기\' 나왔다
Talk & Talk
1460
영주권 문호 2개월 연속 전면 동결…가족·취업이민 발급·접수일은 그대로
Visa,Green Card,Citizenship
4008
\'시민권자도 재외동포\' 재외동포기본법 시행
Talk & Talk
3564
LA 개스값 5.20불…하락세 지속 전망…가주 5달러 아래로 떨어질 듯
Talk & Talk
4114
은행들 점보론 꺼리기 시작…금액 크고 수익성은 낮아
Talk & Talk
3358
남가주 주택매물 전년비 32% 감소…팬데믹 전보다는 52% 줄어
Talk & Talk
3701
코웨이 노조, 설립지원 단체 전횡에 반기
Job & Work Life
4726
구급차 이용 폭탄청구서 금지…과다청구 금지법 내년 발효
Talk & Talk
4322
반중 정치공세 부작용…미국내 아시안 혐오로
Talk & Talk
4507
75세 이상 12명 중 1명 일한다…역대 최고치 급증
Job & Work Life
3094
할리우드 배우노조 파업 종료…9일부터 제작 현장 복귀
Job & Work Life
3789
법률 분쟁 대응 웨비나…16일 LA총영사관 주최
Job & Work Life
1522
디즈니 실적 성장 기여한 ‘무빙’… CEO “놀라운 히트”
Talk & Talk
871
애플 對 인텔, CPU 전쟁
Talk & Talk
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