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밤의 숙청’… 연방정부 감찰관 무더기 해고
By pynxxxx Posted: 2025-01-27 11:13:01

▶ 트럼프, 15명에 이메일로

▶ ‘30일 전 통지’ 절차 어겨
▶ 2기 충성파 ‘코드인사’ 포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 첫 주를 ‘숙청’으로 마무리했다. 금요일 밤 연방정부 기관 소속 감찰관 최소 15명에게 일방적인 해고 통보 이메일을 무더기로 보낸 것이다. 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이뤄진 데다, 연방법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당뿐 아니라 공화당마저 우려를 표하고 나섰을 정도다.

워싱턴포스트(WP)·A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4일 밤 연방기관 소속 감찰관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우선순위가 바뀌어 (당신이) 즉시 해고됐다”고 알렸다. 해고 통지 이메일을 받은 감찰관 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AP통신은 17명이라고 추산했고, WP는 자체 확인 결과 최소 15명이라고 전했다.

WP는 “국방부와 국무부, 교통부, 노동부 등 상원 승인을 받은 부처의 감찰관은 물론, 환경보호청과 중소기업청, 사회보장청 단위에서도 감찰관 해고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대규모의 동시 해고 조치는 1978년 감찰관 제도가 생긴 뒤로 처음 있는 일이다. 해고 통지를 받았다는 한 감찰관은 WP에 “이건 대규모 학살”이라며 “앞으로 트럼프(대통령)가 누구를 대신 집어넣든 그는 충성파로 간주될 것이고, 이는 전체 시스템을 훼손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문제는 명백한 위법이었다는 점이다. 연방법에 따르면 상원 인준을 받은 감찰관을 해고하려면 ‘사례별 상세한 이유를 포함한 실질적 근거’를 들어 30일 전 미리 의회에 통지해야 하는데, 이번에는 별다른 설명도 없이 ‘이메일 한 통’으로만 즉각 이뤄졌다. “소름 돋는 숙청”(찰스 슈머 상원의원)이라고 표현한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 일부 의원마저 우려를 표하는 이유다. 감찰관의 독립성을 옹호해 온 척 그래슬리 상원의원(공화·아이오와)은 “타당한 이유가 있다면 대통령이 설명해야 한다”며 “그럼에도 30일 전 통지는 의회에 전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코드 인사’라고 하기엔 해고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해고자 중에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임명된 사람들이 대거 포함돼 있었다. 반대로 해고를 피한 마이클 호로비츠 법무부 감찰관의 경우엔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임명된 데다, 트럼프 행정부를 비판하는 보고서를 쓴 이력까지 있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튿날까지도 해고 사유는 물론, ‘위법성 지적’과 관련해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입맛대로’ 구성하기 위한 고위직 물갈이 마무리 수순이자, 향후 ‘견제 없는 운영’을 위한 전초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에도 감찰관 5명을 연달아 해고하고 정치적 충성파를 임명한 적이 있다. WP는 사설을 통해 “트럼프의 ‘금요일 밤 학살’은 법과 의회, 감시감독 체제에 대한 무시”라며 “정부를 효율적으로 만들고자 했다면 감찰관 대량 해고가 아니라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오늘 가입…내일 해지 그리고 모레 재가입”
Talk & Talk
2892
3월 내구재 수주 전월대비 2.6%↑
Current Economy
3609
JP모건 “뉴욕증시, 조정 아직 끝나지 않아”
Current Economy
2891
종합고용 지수 2020년 이후 첫 하락
Job & Work Life
3253
“틱톡, 마침내 미국서 1년 내에 퇴출된다”
Talk & Talk
3041
미 금융시장 지배자… 이젠 은행 아닌 자산운용사
Current Economy
3237
가주 ‘주택보험 대란’ 심화
Talk & Talk
2881
“한남체인 노조 대처 정보공개법 위반”
Job & Work Life
3737
한국에 계좌 없어도 ‘금융 인증’
Talk & Talk
2958
미국 기업 지난해 ‘연봉킹’ CEO는?
Talk & Talk
3184
JP모건까지…월가 떠나는 금융사들
Current Economy
2554
3월 소비자 심리 2021년 이후 최고
Current Economy
4477
바이든 행정부, 초과근무수당 지급 대상 확대
Tax & Salary
3291
소수인종 우대 ‘다양성’ 지우는 미 기업들
Job & Work Life
3070
테슬라, 가격 인하 발표…모델 Y·S·X, 2,000달러
Talk & Talk
2315
‘13월의 월급’… 환급금 받아 빚 갚는다
Talk & Talk
2538
신규실업수당 청구 21만2,000건 그쳐
Job & Work Life
3019
가주 고용시장 ‘먹구름’… 일자리 둔화·실업자 증가
Job & Work Life
2980
나이키, 미 본사 직원 700여명 해고
Job & Work Life
3144
LS전선, IRA 세액공제 1억달러 수혜
Current Economy
2650
LAPD 경찰력 신속 증원 ‘난항’
Talk & Talk
2305
명문대들 학비보조 늘린다
College Life
2222
LA-라스베가스 고속철 마침내 착공
Travel & Food
2466
시민권자 배우자 구제 ‘불체자 합법화’ 추진
Visa,Green Card,Citizenship
3566
뉴저지 구매대행 셀러 모집합니다! (주 4회)
Part Time Jobs
595
현대차 美 조지아 공장, 태양광으로 돌린다
Talk & Talk
3269
‘천정부지’ 남가주 집값… LA 평균 100만달러 육박
Talk & Talk
3003
노동허가 유효기간 자동연장 확대
Visa,Green Card,Citizenship
3109
강한 경제…바이든 재선에 ‘양날의 검’
Current Economy
2942
페이스북·왓츠앱도 ‘AI’ “더 똑똑하고 빨라져”
Talk & Talk
4415
“제3자 업체 차려 경쟁사 정보 수집”
Talk & Talk
3113
자동차 노조가입 가속화 폭스바겐 미 공장 승인
Job & Work Life
3598
사무실 ‘키우기 경쟁’…지금은 ‘축소 지향’
Job & Work Life
3464
생활비 부담에…“병원치료 미루고 끼니까지 걸러”
Talk & Talk
4759
애플, 아이폰 수만대 도난당했는데 ‘쉬쉬’…무슨 일?
Talk & Talk
5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