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의 황금기는 지금부터\"... 47대 대통령 취임
By eovxxxx Posted: 2025-01-20 10:52:06

연방 대법원장 앞 취임 선서
취임 첫 일정은 교회 예배
바이든 부부와 백악관 차담 뒤 의회 이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미 의회 의사당 중앙홀에서 진행된 47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미 의회 의사당 중앙홀에서 진행된 47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대통령직을 성실히 수행하고 모든 능력을 다해 미국의 헌법을 보전하고 수호할 것을 엄숙히 맹세합니다. 신이어 도와주소서(so help me Go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20일 워싱턴 DC 의회 의사당 내 중앙홀(로툰다)에서 열렸다. 트럼프는 이날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 앞에서 진행한 취임 선서를 통해 47대 대통령에 공식 취임했다. 트럼프는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하며 단임 대통령으로 물러났지만, 1·6 의회 습격 사태와 네 차례 형사 기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완벽한 승리를 거두며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하게 됐다. 미국은 4년 중임제인데,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연임이 아니면서 중임을 한 건 그로버 클리블랜드(22·24대)에 이어 트럼프가 두 번째다.

 

◇ 트럼프 “남부 국경에 국가 비상 사태 선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0일 미 의회 의사당 중앙홀에서 진행된 47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웃고 있다. 트럼프 왼쪽은 J D 밴스 부통령.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0일 미 의회 의사당 중앙홀에서 진행된 47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웃고 있다. 트럼프 왼쪽은 J D 밴스 부통령. /AP 연합뉴스

 

트럼프는 이날 취임 연설에서 “미국의 추락은 오늘부터 끝이고 오늘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며 “자신감과 낙관적인 마음을 갖고 대통령직에 복귀했다.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위대하고 강하고 훨씬 더 특별해질 것”이라고 했다. “우리 정부는 신뢰의 위기에 직면해 있고, 수년 동안 급진적이고 부패한 기득권층이 시민들로부터 권력과 부를 빼앗았다” “사회 기둥이 부서지고 국내의 단순한 위기조차 관리할 수 없는 정부를 가졌다” “해외에서 계속되는 재앙적인 사건에 휘말리고 있다”며 바이든 앞에서 바이든 정부의 실정(失政)을 때렸다. 트럼프는 지난해 7월 펜실베이니아주(州) 유세 당시 피격을 당한 것을 언급하며 “나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신으로부터 목숨을 구제받았다”고도 했다.

 

트럼프는 40분 연설에서 자신의 4년 임기 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할 다양한 과제를 쏟아냈다. 가장 먼저 “남부 국경에 ‘국가 비상 사태’를 선포하고 국경 지대에 군대를 파견해 불법 이민자가 미국에 들어오는 것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에너지 비상 사태’를 선포해 석유·가수 시추를 확대할 것을 시사했다. 트럼프는 또 대외수입청(ERS) 신설 계획을 밝히며 “통상 시스템을 즉각 점검하고 외국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이 드라이브를 건 ‘그린 뉴딜’을 종료하고, 전기차 의무화 정책 역시 철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8년 전과 같이 가장 강력한 미국 군대를 건설할 것”이라면서도 “새로운 전쟁에 휘말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외교·안보에 있어서도 대외 개입을 최소화하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날 취임식은 북극 한파에 따른 강추위로 인해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두 번째 취임식(1985년) 이후 40년 만에 실내에서 열렸다. 조 바이든 대통령 부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조지 부시 전 대통령 부부,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부부 등 내빈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멜라니아 여사를 비롯한 트럼프 일가와 내각 주요 직위 지명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빅테크 거물 등도 참석했다. 머스크는 트럼프가 “미국 우주인을 화성에 보내 성조기에 꽂을 것”이라 말하자 두 손을 활짝 들어 올렸다. 이밖에 의사당 내 ‘노예해방홀’에도 1800석의 자리가 별도로 준비됐고, 트럼프 매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지지자 약 2만명은 워싱턴 DC의 ‘캐피털 원 아레나’ 경기장에서 생중게로 취임 장면을 지켜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0일 미 의회 의사당 중앙홀에서 진행된 47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선서를 하고 있다./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0일 미 의회 의사당 중앙홀에서 진행된 47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선서를 하고 있다./EPA 연합뉴스

 

◇ 트럼프, 교회 예배로 일정 시작… 백악관서 바이든 부부와 차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부부가 20일 세인트 존스 교회에 관계자 안내를 받아 입장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부부가 20일 세인트 존스 교회에 관계자 안내를 받아 입장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이 20일 워싱턴 DC의 세인트 존스 교회 안에 예배를 보기 위해 앉아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이 20일 워싱턴 DC의 세인트 존스 교회 안에 예배를 보기 위해 앉아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는 취임 당일인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 인근 교회 예배로 첫 일정을 시작했다. 트럼프와 멜라니아는 이날 오전 8시40분쯤 백악관 영빈관인 ‘블레어하우스’에서 나와 대기하던 차량에 올랐다. 트럼프 부부는 지난 18일 플로리다주(州) 마러라고에서 공군기를 타고 워싱턴 DC로 이동, 백악관에 4년 만에 복귀하기 전까지 이틀 밤을 여기서 머물렀다. 트럼프는 검은색 코트에 자주색 넥타이를, 멜라니아는 네이비색 코트에 흰색 테두리 장식이 된 검은색 원형 모자를 쓴 모습이었다. 멜라니아는 전날 알링턴 국립묘지 내 ‘무명 용사의 묘’ 헌화에서는 디올 케이프 코트에 붉은색 밑창이 돋보이는 크리스찬 루부탱 하이힐을 신어 눈길을 끌었다.

 

차에서 내린 트럼프 부부는 손을 잡고 교회 정문 앞에서 교회 관계자의 안내를 받으며 입장했다. 백악관 북쪽 라파예트 광장 건너편에 위치한 세인트 존스 교회는 4대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 이후 역대 대통령들이 거의 모두 찾은 ‘대통령의 교회’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남북전쟁 기간 내내 이 교회에서 저녁 기도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취임식 당일 대통령 당선인이 예배에 참석하는 건 193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때 시작된 전통이다. 트럼프는 2017년 취임식을 앞두고도 이곳에 찾아 첫 일정을 시작한 바 있다. 이날 현장에는 J D 밴스 부통령 당선인 부부, 트럼프의 막내 아들 배런, 장녀 이방카와 사위 재러드 쿠슈너 부부 등도 함께했다. 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립자, 팀 쿡 애플 CEO 등 빅테크 거물들도 모습을 비췄다고 미국 언론들은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오른쪽에서 2번째)이 20일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왼쪽에서 2번째)와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질 바이든 여사, 바이든, 트럼프, 멜라니아 여사.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오른쪽에서 2번째)이 20일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왼쪽에서 2번째)와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질 바이든 여사, 바이든, 트럼프, 멜라니아 여사. /AP 연합뉴스

 

트럼프는 예배 후 백악관으로 이동해 바이든 부부와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눴다. 바이든 부부가 백악관 현관에서 대기하다 트럼프 부부를 맞았는데, 바이든은 트럼프가 차에서 내리자 “집에 온 것을 환영한다”고 했다. 이어 서로를 포옹하고 인사를 나눈 뒤 나란히 서서 기념 촬영을 했다. 이 회동에 앞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부부도 백악관에서 밴스 부부를 맞이했다. 퇴임하는 대통령이 당선인을 백악관으로 초대하는 전통은 1837년 7대 대통령인 앤드루 잭슨과 8대 대통령인 마틴 반 뷰런 사이에서 시작됐다. 트럼프는 2021년 선거 결과에 불복해 이 전통을 따르지는 않았다. 바이든은 이날 트럼프에 별도의 편지도 남겼는데 기자들과 만나 “그것은 나와 트럼프 사이의 일”이라며 내용은 함구했다.

 

20일 미국 워싱턴 DC 내셔널몰에 사람들이 모여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20일 미국 워싱턴 DC 내셔널몰에 사람들이 모여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출처 : 조선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한국 휴대폰 없이 본인 인증…카카오 앱 등으로 확인 추진
Talk & Talk
3024
식스플래그·너츠베리팜 80억불 합병…중복지역 적어 연 2억불 절감
Travel & Food
3384
은퇴플랜 적립한도 2만3000불로 상향…IRS, 2024년부터 적용
Tax & Salary
3609
항공·호텔 예약 \"최대한 서둘러라\"…할러데이 시즌 여행 가이드
Travel & Food
3491
‘공유경제 신화’ 위워크, 내주 파산신청
Talk & Talk
554
전기차 인기 ‘시들’… 전국 딜러 재고 급증
Talk & Talk
1474
기업 9월 구인건수 955만건
Job & Work Life
1455
전망 비웃듯 소비 멈추지 않는 미국인들… 이유는?
Talk & Talk
560
반도체 업계 ‘바닥 지나 회복세’
Talk & Talk
3195
테슬라, 오토파일럿 사망사고 승소
Talk & Talk
3163
‘커버드 CA’ 보험료 9% 인상…저소득층은 인하
Talk & Talk
4070
보육비 부담에 맞벌이 포기, 한쪽은 육아 전념
Job & Work Life
3120
\"전자담배로 금연하세요\" 이말 맞나? 분석 논문의 결론 나왔다
Talk & Talk
3389
63년 한 풀었다…텍사스, 월드시리즈 첫 우승
Talk & Talk
3897
5일 서머타임 해제…새벽 2시를 1시로
Talk & Talk
3904
아시아나 화물사업 매각 결정…한고비 넘었다
Talk & Talk
4141
Fed 기준금리 2연속 동결…“금리인상 행진 사실상 끝나”
Talk & Talk
3360
화폐 인물에 한국계 첫 선정…조폐국 2025년 발행 쿼터에
Talk & Talk
4192
미국도 의사 구인난…의대 정원 제한·긴 수련 기간에 태부족
Job & Work Life
1280
전기차 시장 주춤한데…토요타, 미 배터리공장에 11조원 공격적 투자
Talk & Talk
550
美연준, 기준금리 5.25~5.50% 연속 동결…2001년 이후 최고 수준
Talk & Talk
478
넷플릭스 \"광고요금제, 전세계 1천500만명 가입…다운로드 지원\"
Talk & Talk
1142
3분기 고용비용 전분기 1.1% 증가
Job & Work Life
1697
남가주 관광·교육부문 회복… 일자리 증가세 지속
Job & Work Life
444
파업 끝났지만…‘가격 인상 청구서’ 날아온다
Job & Work Life
543
LA 명물 ‘할리웃 사인’ 100주년
Talk & Talk
3576
보험사들 줄줄이 철수…가주 ‘주택보험 대란’
Talk & Talk
4269
SD시 생활비 전국 최고
Talk & Talk
3103
한달 새 60여건...둘루스 일대 상가서 연쇄 절도 기승
Talk & Talk
3109
한인·한국계 은행 외형 커졌지만 실익 줄었다
Talk & Talk
3008
화요일 급여받으면 저축 더한다…조지아대 코레이아 교수 연구
Tax & Salary
2947
한인은행 직원 2887명…2.8%↓…급여 포함 인건비는 증가
Job & Work Life
3191
타운 식당들은 세대교체 중…\"전통 고수\" vs \"새로운 시도\"
Talk & Talk
3823
수퍼푸드 이미지 정착…김치 미국 판매 최대
Travel & Food
4271
산불 강풍타고 급속 확산…리버사이드 4000명 대피
Talk & Talk
3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