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메리카 끝났다…이제 미국 최대수입국은 중국 아닌 멕시코
By zrmxxxx Posted: 2024-01-10 13:21:23

▶ 1∼11월 상품수입 중국 3천900억불 ·멕시코 4천400억불

▶ 무역전쟁·니어쇼어링 여파…멕시코 낮은 임금·토지비용 장점

 

 

미국의 연간 최대 교역 파트너가 중국이 아닌 멕시코가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미국의 정권을 가리지 않고 지속된 미중 통상갈등이 양국을 넘어 글로벌 무역의 재편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9일 공개된 미국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미국의 국가별 상품 수입액은 멕시코가 398억1천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중국이 354억9천50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멕시코는 전월인 10월에도 429억2천400만 달러로 415억7천100만 달러를 기록한 중국을 제치고 미국의 최대 상품 수입국이 된 바 있다.

11월 이전 1년간 상품 수입액을 합산한 결과에서도 멕시코가 4천389억8천600만 달러로 1위였고, 중국은 3천931억3천700만 달러로 2위였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이변이 없는 한 12월을 포함한 지난해 전체로도 멕시코가 미국의 최대 교역 파트너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은 경제적으로 한몸인 '차이메리카'로 불릴 정도로 밀접한 교역을 이어왔다.

미국은 최근 십수년 동안 중국을 최대 수입국으로 삼아 저가 상품을 사들여 물가를 관리했고 중국은 달러화를 쓸어갔다.

중국은 2018년 3월 이전 1년까지도 미국 상품 수입액의 21.8%를 차지하는 파트너였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기치로 내걸고 2016년 집권한 뒤 급격한 변화가 뒤따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국 제조업 부흥을 선언하며 중국에 광범위한 고율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시작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0년 출범했으나 고율관세를 대부분 존치하는 등 보호주의 성향을 그대로 이어갔다.

지난해 7월에는 이전 1년간 미국의 상품 수입액 중 중국의 비중이 14.6%로 200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번에 공개된 지난해 11월 기준 비중은 13.9%로 더욱 낮아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과 미중갈등의 여파로 발생한 공급사슬 장애도 미중통상을 저해한 요인이었다.

미국 기업들도 최근 몇 년간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줄이려는 미국 정부의 노력과 재난 리스크를 감안해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다.

반면 멕시코는 미국·캐나다 간 자유무역협정인 USMCA에 힘입어 중국의 강력한 경쟁국으로 떠올랐다.

해당 협정 덕분에 멕시코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급망 단축 필요성이 커지고 정부도 인접국으로의 기업 이전을 지원하는 니어쇼어링 정책을 펼친 것 역시 미국과 접경한 멕시코에 유리한 조건이 됐다.

다른 북미 국가보다 4분의 1 내지 5분의 1 수준인 멕시코의 임금 수준, 저렴한 토지 가격 등도 멕시코로선 빼놓을 수 없는 경쟁력이다.

멕시코가 지난 1년간 미국 상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7월 기준 15%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5.5%로 높아졌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프레스티지를 일등석 업그레이드로 가능”
Travel & Food
2447
신규실업수당 청구, 5개월 만에 최저
Job & Work Life
3042
패밀리 레스토랑 ‘TGI 프라이데이스’ 몰락
Travel & Food
1980
코앞 대선에 숨죽인 금융시장…“모든 가능성 대비”
Current Economy
2655
대선 직전 ‘고용 쇼크’ 3년 10개월만에 최저
Job & Work Life
2924
빅테크 AI 투자 급증… 직원들은 해고 공포 커져
Job & Work Life
3564
막오른 AI 검색 전쟁…빅테크들, 구글 아성에 도전장
Talk & Talk
1752
인플레가 무서운 이유… 소득 올라도 ‘빠듯’
Current Economy
1753
인플레, 둔화 멈추고 정체… 고착화 우려
Current Economy
1901
고용비용, 3분기 0.8%↑…2분기 대비 상승세 둔화
Job & Work Life
2419
“청년 취업 지원 대규모 박람회 열린다”
Job & Work Life
2713
미국 10월 신규 일자리 1만2000개 그쳐... 허리케인이 노동시장 강타
Job & Work Life
2695
LA 다저스, NY양키스 꺾고 월드시리즈 우승
Talk & Talk
2284
오늘 핼로윈… 어린이들 ‘안전주의’
Talk & Talk
2059
스타벅스도 내년 ‘주 3일 사무실 출근’
Job & Work Life
2839
뉴욕시 무단횡단 처벌 못한다…경찰의 단속금지 조례 최근 발효
Talk & Talk
2065
“경제 침체 없다”… 성장·소비·고용 ‘3마리 토끼’ 잡아
Current Economy
2536
항공편 취소·지연시 현금 환불 의무화
Travel & Food
2130
3분기 성장률 2.8%…소비호조에 강한 성장·잠재성장률 상회
Current Economy
2118
ADP “10월 민간고용 23만3천명↑”…1년3개월만에 최대폭
Job & Work Life
2164
선거일 ‘투표시간 2시간’ 투표…유급휴식 의무규정
Job & Work Life
2594
‘국민기업’이었는데… 보잉·인텔의 하염없는 추락
Current Economy
2422
‘소비자신뢰지수’ 반등…향후 경기 낙관 전망
Current Economy
1827
구인건수 744만건… 3년 반만에 최저
Job & Work Life
2249
2025 회계연도에 비자인터뷰 100만건 늘린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2700
“EDD 실업수당 신청, 쉽고 빨라졌어요”
Job & Work Life
2057
한식 레스토랑 서버 구합니다
Part Time Jobs
246
다저스, WS 3연승… 우승까지 단 1승만 남았다
Talk & Talk
3690
다시 돌아온 ‘킹달러’… 1,400원대 근접
Current Economy
2276
\"세금보고 사기 방지 위해 IP PIN 신청하세요\"
U.S. Life & Tips
2394
\"주택보험료 1년 안에 두 번 올랐다\"
Talk & Talk
2427
[GLOKER Sales Representative 모집 - CES 2025]
Part Time Jobs
211
소비자들 “지갑 연다” 역대 최대 연말 지출
Talk & Talk
2553
124년 노벨상…‘죽음의 상인’이라 불린 과학자의 죄책감서 시작
Talk & Talk
1958
캐나다도 이민자에 ‘빗장’… 영주권 발급 한도 축소
Talk & Talk
1995